스페인 관광산업에 관한 고찰 리포트
- 최초 등록일
- 2018.08.16
- 최종 저작일
- 2018.08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2,100원 
목차
1. 머리말
2. 국가 선정 동기
2.1 스페인 기초 내용
2.2 스페인 관광지
2.3 스페인 관광 산업 현황
3. 스페인 국제 관광 정책
4. 우리나라 관광 발전 방안
본문내용
1. 머리말
현재 전 세계적으로 여행에 대한 수요와 욕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간들은 더 편리한 이동수단을 갖추게 되었고, 산업혁명 이후 경제적 성장으로 여가시간이 증가하였다. 길어진 여가시간과 비행기 등 장거리 여행 이동수단이 편리해지면서 사람들은 국내에서 국제로 관광지의 선택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여행객들의 관광에 대한 욕구 증가와 그 범위의 확대에 따라 관광산업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였다. [그림1]은 관광산업의 규모가 점차 증가한다는 의견을 뒷받침한다.
[그림2]와 [그림3]의 데이터를 보면 관광산업이 고용과 국민총생산(GDP) 등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같은 ‘관광’이라는 이름하에 천차만별임을 알 수 있다. 그로인해 오늘날 국가들의 관광정책 및 노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2015년 5월 7일 WEF(세계경제포럼)은 2015 관광경쟁력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한국은 2013년 25위에서 4단계 하락한 29위를 차지하였다. 2013년도 처음으로 20위권에 안착하여 유지하였으나 문화체육관광부가 ‘제 2차 관광 진흥 확대 회의’에서 2017년도까지 관광경쟁력 15위권으로 진입하겠다는 목표와는 점차 멀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우리는 현재 우리나라 관광경쟁력 향상을 위해 이미 관광 선진국으로 자리 잡은 다른 나라의 현황 및 그들의 정책을 분석하여 우리만의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2. 선정동기
[그림4]에서와 같이 우리나라는 29위에 랭크되어있으며, 그 위에 우리가 본받아야할 관광대국들이 랭크되어있다.
세계경제포럼에서 제시한 관광경쟁력은 4개의 대 분류, 14개의 중 분류, 94개의 세 분류의 평가기준항목으로 측정되었다. 구체적으로 국가 환경, 관광정책과 관광조건, 인프라, 자연과 문화 관광자원 등의 4분류를 주축으로 하여 국가 환경에는 비즈니스 환경, 안전과 안정성, 건강과 위생, 인적자원과 노동시장, 정보통신 여건 등이 포함되어있다.
참고 자료
http://tour71.blog.me/220354566217
https://skift.com/2014/01/21/20-countries-where-tourists-spent-the-most-money-in-2012/
http://news.joins.com/article/14724547
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3&c1=03&c2=03&c3=00&nkey=201512232210273&mode=sub_view
http://www.oecd-ilibrary.org/
베스트 오브 스페인101 - 이재한 (TERRA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