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락사 찬성론
- 최초 등록일
- 2018.07.22
- 최종 저작일
- 2018.06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윤리학적 논거를 바탕으로 한 안락사 찬성
Ⅱ.법적 논거를 바탕으로 한 안락사 찬성
본문내용
안락사 찬성 논거를 제시하기에 앞서 먼저 안락사의 개념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사전에 의하면 안락사(安樂死)는 일반적으로 회복할 수 없는 죽음에 임박한 중환자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하여 그 환자의 생명을 단축시켜 사망케 하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안락사는 여러 개념으로 세분되며 주장하는 학자들에 따라 그 의미가 조금씩 달라진다. 필자는 ‘광의의 안락사’ , ‘의료적 의미의 안락사’라는 안락사의 세분화된 개념을 사용하여 논지를 전개해 나가고자 한다. 이 유형의 안락사는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하여 그의 생명을 인위적으로 종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정의는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안락사 개념이며 일반적인 사전의 정의와도 맥을 같이 한다.
Ⅰ.윤리학적 논거를 바탕으로 한 안락사 찬성
구체적인 근거로는 무의미한 고통의 시간 감소로 인한 인간의 존엄성 존중, 안락사에 의한 사회적 공리 증진을 들 수 있다.
먼저, 안락사를 통해 환자가 느끼는 무의미한 고통의 시간을 감소시켜 환자의 인간성과 인격을 존중해야 한다. 건강한 사람이 수술을 하고 느끼는 고통은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유의미한 고통이다.
참고 자료
“안락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011. 7. 1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2600&cid=1595&categoryId=1595
조한상,이주희, 안락사에 관한 법적 고찰 – 헌법학과 형법학의 융합과 그 파급효, <법학연구> 제49권 제0호, 한국법학회
헌재 1991. 4. 1. 89헌마160; 헌재 2002.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