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론] 구조기능주의이론,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교환이론, 갈등이론, 가족발달이론, 가족체계이론, 여권주의이론
- 최초 등록일
- 2018.06.18
- 최종 저작일
- 2018.06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I. 구조기능주의 이론
II.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III. 교환이론
IV. 갈등이론
V. 가족발달이론
VI. 가족체계이론
VII. 여권주의이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족이론이 체계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 이후부터이며, 1964년 Harold Christensen이 편집한 Handbook of Marriage and the Family 중 '가족 연구분야의 발전(Development of the Family Field of Study)'에서 가족학분야에 대한 정의가 실리는 것을 시작으로 가족학자들이 가족연구분야의 개념 틀을 보다 정교화하고 양적으로 더욱 세련된 측정도구와 통계절차를 촉구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 후 현대가족이론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을 편집한 Burr과 그의 동료들(1979)은 계속증가하고 있는 가족학의 경험적 증거들에 새로운 이론형성방법을 적용시키면 가족이론이 큰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감지하였다. 이러한 가족학이론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 중반 Sussman과 Steinmetz(1987)의 Handbook of Marriage and the Family에서 Thomas와 Wilcox가 '가족이론의 부상(The Rise of Family Theory)'이라는 글을 발표하면서 가족이론 구성의 포부는 점차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왜냐하면 이들은 글에서 가족학 분야의 제 개념 틀이 생성, 지속, 소멸된 역사를 요약하면서 사회학이나 기타 사회과학 및 가족분야의 주류를 이루어왔던 실증주의적 가정들을 비판하였기 때문이다. 이들의 글은 결과적으로 '후기 실증주의(post-positivist)'로의 움직임을 확산시켰다. 후기 실증주의의 핵심은 이론이 관찰에 우선하고, 이론 없는 사실은 없으며 모든 이론들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가족학분야의 후기 실증주의적 움직임은 가족학 연구가 방법론적으로도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들을 사용하며 다학제적(multidisciplinary)가족연구가 이루어지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가족 연구는 가족 현상에 대한 끊임없는 탐색을 통해 가족원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기여했다.
참고 자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본인이 관심 있는 가족관련 이슈 및 현상들을 수업시간에 제시되었던 가족 관련 관점 및 이론 5페이지
가족 연구의 이론적 관점(구조기능론적 관점,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관점, 사회교환론적 관점, 갈등론적.. 5페이지
[가족학] 가족이론(구조기능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가족발달이론, 가족스트레스이론, 건강가족이론, .. 4페이지
사회복지행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휴먼서비스 환경의 독특한 측면을 반영해야한다. 그리고 사회복지조직.. 5페이지
구조기능론적관점,상징적상호작용론적관점,사회교환론적관점,갈등론적관점,여권론적관점,가족발달론적관점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