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 케이스 A++ 보장
- 최초 등록일
- 2018.05.27
- 최종 저작일
- 2018.03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기간 및 방법
3. 문헌 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1) 기본간호력
2) 활력징후
3) Input / Output
4) 진단검사
5) 내과적 치료요법(medication)
2. 간호과정
1) Data collection
2) Nursing problem & Nursing Diagnosis
3)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1. 실습소감 및 제언
2.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사망 통계 자료를 분석해보면 1위 암, 2위 뇌혈관질환, 3위 심장질환으로 나타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ER 실습을 하면서 chest pain을 호소하는 대상자들을 볼 수 있었는데 응급실에 내원하는 대상자 뿐만 아니라 심장질환으로 통증을 호소하고 있을 모든 대상자들의 안위를 위해 발생 질병 중 가장 사망률이 높은(병원도착 전 50%가 사망하고 병원 도착하여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도 사망률이 10%) 심근경색에 대하여 발병원인과 증상, 치료방법과 간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본 사례연구를 하였다.
2. 연구기간 및 방법
본 연구는 창원삼성병원 ER에서 2016년 5월 3일에 입원하신 이ㅇㅇ님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16년 5월 4일부터 5월 6일까지이다. 실습 중에 주기적인 대상자관찰과 신체검진과 문진, 문헌고찰과 EMR, 검사결과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사정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간호진단을 내리고 진단에 맞는 적절한 간호목표를 세워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3. 문헌 고찰
1) 정의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인 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 을 공급받고 움직이게 된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관상동맥 내에 쌓여있던 혈전이 터져 심혈관을 급성으로 막는 경 우 등에 의해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 경우를 심근경색증이라 한다.
2) 원인
관상동맥이 막히게 되는 원인은 동맥경화증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동맥경화증에 의해 관상동맥의 안 쪽 벽에 콜레스테롤, 지방의 덩어리가 생기면 혈관이 좁아져 이곳으로 피가 잘 지나지 못하게 된다. 이 지방의 덩어리가 여러 원인에 의해 파열되게 되면 그 부분에 급속히 피가 엉겨 붙어 혈전이 되고 혈관이 막히게 된다.
참고 자료
최명애 외. 2011. 인체의 구조와 기능. 엘스비어코리아. 368-394p, 448-469p
김건희 외 역. 2011. 아틀라스병리학. 고문사. 178-188p
조경순 외. 2014. 성인간호학(상권)6판. 현문사. 38p, 619-764p
송경애 외. 2014. 기본간호학(상). 수문사. 253p, 288p,
송경애 외. 2014. 기본간호학(하). 수문사. 90p, 253p, 290p, 295p
김정자외. 2002. 기본간호학(상). 정담. 335-343p
김정자외. 2002. 기본간호학(상). 정담. 303-325p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킴스온라인 www.kimsonline.co.kr
국가건강정보포털 www.health.mw.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