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전력산업 동향],「EA 2040 세계 에너지 전망」, 전기저널 2016년 3월호(통권 제471호), 2016.3, 5 pages
· 허은녕, 「국내외 에너지환경 변화와 우리나라 에너지 믹스 전략 수립과정에의 시사점」, 에너지경제연구 제 10 권 제 2 호, 2011, p.188-189
· 손양훈. 「에너지, 그 불확실한 미래」. Future Horizon, (24), 2005, p.4
· 김진오. 「한-중 신ㆍ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 협력 방안」. 한국로고스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 논문집, 2007
· 「현실로 다가온 기후변화, 에너지 시장의 변화」,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 홈페이지
· 허은녕, 「국내외 에너지환경 변화와 우리나라 에너지 믹스 전략 수립과정에의 시사점」, 에너지경제연구 제 10 권 제 2 호, 2011, p.188-189
· Gal Luft and Anne Korin, 「Energy Security: In the Eyes of the Beholder」, in Gal Luft and Anne Korin (eds.), Energy Security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A Reference Handbook(Santa Barbara: Praeger Security International, 2009), pp. 5-7. Luft and Korin (2009), 이재승, 「동아시아 에너지 안보 위협 요인의 유형화」, p.4에서 재인용
· David von Hippel et al., 「Energy Security and Sustainability in Northeast Asia」, Energy Policy, Vol. 39, No. 11 (November 2011), p. 6721; Luft and Korin (2009), pp. 8-13, 이재승, 「동아시아 에너지 안보 위협 요인의 유형화」, p.4에서 재인용
· [네이버 지식백과] 에너지안보 [energy security] (한경 경제용어사전, 한국경제신문/한경닷컴)
· 손양훈 (2015). 「에너지, 그 불확실한 미래」. Future Horizon, (24), p.4
· 손양훈 (2015). 「에너지, 그 불확실한 미래」. Future Horizon, (24), p.7
· 손양훈. 에너지, 「그 불확실한 미래」. Future Horizon, (24), 2015, p.5
· 김원호, 「한국의 대 중남미 외교정책: 평가와 제언」, 박상현, 하상섭, 에너지안보의 국제정치: 국제협력과 한국의 전략, 정치․정보연구 제15권 1호, 2012, p. 338-339에서 재인용
· 김성일 외, 「자원개발 연계형 해외건설 및 플랜트 진출지원 방안 연구(I): 자원개발 여계시장
· 잠재력 분석 및 진출모형 구축방향」(국토연구원, 2009), p.34-37, 박상현, 하상섭, 에너지안보의 국제정치: 국제협력과 한국의 전략, 정치․정보연구 제15권 1호, 2012, p. 338-339에서 재인용
· 박상현, 하상섭, 「에너지안보의 국제정치: 국제협력과 한국의 전략」, 정치․정보연구 제15권 1호, 2012, p.338-339
· [국제 에너지 자원 동향], 223호, 「제6회 코리아 에너지 포럼 개최 결과」, 국제에너지 안보과 글로벌에너지협력센터, 2015.11.26., p.1
· 심기은, 은성태, 황혜영, 「중국의 에너지 R&D 현황 및 한 · 중 협력 방안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정책연구자료,2009
· 심기은, 은성태, 황혜영. 「중국의 에너지 R&D 현황 및 한 · 중 협력 방안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정책연구자료, 2009, p.72
· 「중국 신재생에너지산업 세계시장 주도 전망」, 국제 에너지 자원 동향, 글로벌에너지협력센터, Vol 제13-133호, p.1
· [국제 에너지 자원 동향], 150호, 「중국 태양광발전사업 현황 및 시사점」, 2014.05.13, 국제에너지 안보과 글로벌에너지협력센터, p.1
· 심기은, 은성태, 황혜영, 「중국의 에너지 R&D 현황 및 한 · 중 협력 방안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정책연구자료, 2009, p.16
· 손양훈. 「에너지, 그 불확실한 미래」. Future Horizon, (24), 2015, p.5
· 심기은, 은성태, 황혜영. 「중국의 에너지 R&D 현황 및 한 · 중 협력 방안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정책연구자료, 2009, p.21p
· 심기은, 은성태, 황혜영. 「중국의 에너지 R&D 현황 및 한 · 중 협력 방안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정책연구자료, 2009, p.63
· 심기은, 은성태, 황혜영, 「중국의 에너지 R&D 현황 및 한 · 중 협력 방안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정책연구자료, 2009, p.85-86
· 김명남, 「동북아 국가들의 에너지 소비와 에너지 협력」. 과학기술정책, (141) ,2003, p.64
· 김명남, 「동북아 국가들의 에너지 소비와 에너지 협력」. 과학기술정책, (141), 2003, p.64
· 박용덕 외, 「2015년 한·중·일 역학관계 대응 종합연구」, 한·중·일간 에너지 부문
· 협력 가능성 분석 및 전망,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미래사회 협동연구총서 12-02-04, p.10
· 김명남. 「동북아 국가들의 에너지 소비와 에너지 협력」. 과학기술정책, 2003, p.64
· 박성호. 「동북아 지역내 에너지안보협의체의 등장 가능성에 대한 고찰」. GRI 연구논총,
· 13(1), 2011, p.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