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광준, 「중국계획출산정책의 형성과정」, 『한국사회정책』, 한국사회정책학회, 2011, pp.203-235.
· 왕지단, 「중국 인구정책의 형성 및 집행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 유석, 「중국의 인구정책변화와 특징분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 이경희, 「중국의 산아제한과 낙태」, 『사회 이론』 제26권, 2004, pp.42-72.
· 이경희, 「현대화 과정에서 한국과 중국의 산아제한정책 비교연구」, 『교육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 연구소, 2006, pp.401-430.
· 이아령, 「현대 중국의 인구정책 : ‘한 자녀 낳기’ 인구정책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 최금해 외 저, 「중국 단독 두 자녀 정책의 출범 배경과 그에 따른 법률문제에 관한 연구」, 『中国法研究』 Vol.25, 한중법학회, 2016.
· 펑페이페이, 「중국의 인구정책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 김도경, 「사회 : 현실 반영의 "전면 두 자녀"」, 『성균차이나브리프』제4권, 제1호,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16, pp.56-61.
· 한국금융연구원, 「China Inside 중국 내 주요 연구 동향 : "중국 두 자녀 출산 허용"에 대한 기대와 전망」, 『주간금융브리프』제24권, 제45호, 한국금융연구원, 2015, pp.20-21.
· “35년 만에 폐지되는 中 한 자녀 정책…”인구 4억명 억제 성과“”, 연합뉴스, 2015. 10. 29,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0/29/0200000000AKR20151029221600089.HTML?input=1195m?22cb3b30
· “남녀 성비 불균형이 범죄 확산”, YTN, 2015. 11. 27,
· http://www.ytn.co.kr/_ln/0105_201511271039139821
· “2020년 중국 농촌 ‘노총각 천지’”, 경향신문, 2015. 09. 30,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9302229565&code=970204
· “중국농촌 남녀출생성비 123:100, 불균형 심각”, 내일신문, 2007. 11. 15,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86&aid=0000074855
· “신붓감 누구 없소… 중국 한 자녀 정책의 역습”, 한국일보, 2015. 05. 29,
· http://www.hankookilbo.com/v/7c027413be9445ff95e214821c8a9994
· “중국, 부자 되기 전 노인의 나라될 것”…중국 고령화 속도, 한국 추월“, 경향신문, 2016. 03. 16,
·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603161702571&code=920100&med=khan
· “중국 인구 13억7349만 명, 증가율 둔화되고 고령화 심화”, 아주경제, 2016. 04. 21,
· http://www.ajunews.com/view/20160421141159739
· “”노후 보장하라“…중국 ‘한 자녀 정책’피해 부모 집단시위”, 연합뉴스, 2016. 04. 19,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4/19/0200000000AKR20160419068700009.HTML?input=1195m
· “중국 고령화에 독거노인도 문제, 대도시 노인 70%가 혼자 살아”, 아주경제, 2015. 11. 09,
· http://www.ajunews.com/view/20151109141823299
· “[아! 차이나-고령화·환경·빈부 패러독스 빠진 중국] ⑨65세 이상 노인 10.1%… ”인구정책 전면 재검토할 때“, 이투데이, 2015. 10. 06,
·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211036
· “中 외자녀 사망 가정 1000만 가구, 부양자녀 없는 부모 사회문제”, 아주경제, 2012. 08. 27,
· http://www.ajunews.com/common/redirect.jsp?newsId=20120827000445
· “급변하는 중국 가족 문화”, 오마이뉴스, 2002. 12. 14,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47&aid=0000018994
· “소황제 증후군 중국 사회 암으로”, 서울경제, 2015. 07. 19,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2713938
· “중국 ‘한 자녀 정책’의 그림자…낙태‧피임수술 강요, 빛 보지 못한 수많은 생명들”, 아시아엔, 2016. 02. 06, http://kor.theasian.asia/archives/157985
· “중국, 한 자녀 정책 40년간 낙태 3억3600만 건 달해”, 이투데이, 2013. 03. 17,
·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704732
· “중국 한 자녀 정책, 평범한 가정의 ‘참혹한 비극’”, SBS CNBC, 2013. 11. 16,
· http://sbscnbc.sbs.co.kr/read.jsp?pmArticleId=10000609913
· “<中, ‘421 가정’ 급증..독생자녀-인구감소 악순환구조>”, 연합뉴스, 2006. 11. 13,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1466042
· “중국의 가장 외로운 세대...‘소황제’라고? 부모 봉양 걱정에 자녀 출산 미룬다”, 아시아투데이, 2015. 12. 08,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51208010005345
· “[1등으로 본 세계_중국의 인구2] 인구의 질을 높이자?”, 한겨레21, 2005. 08. 05,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4&oid=036&aid=0000009064
· “[데일리차이나] 계속 되는 산아제한”, 국정브리핑, 2005. 05. 17,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7&oid=078&aid=0000013937
· “中 저출산-고령화에 한 자녀정책 포기”, 파이낸셜뉴스, 2015. 10. 29,
· http://www.fnnews.com/news/201510292151387717
· “[칼럼] 중국, 여전히 뜨거운 ‘두 자녀 정책’”, 조선일보, 2016. 04. 11,
· http://baby.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4/11/2016041101739.html
· “중국, 두 자녀 정책 시행했지만...둘째 원하는 기혼 여성 15%에 불과”, 글로벌비즈, 2016. 01. 04,
· http://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1601040127105451942_1/article.html
· “중국 ‘두 자녀’정책 도입했지만…양육비 부담에 인식전환 힘들 듯”, 뉴시스, 2015. 12. 13,
·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1211_0010472442&cID=10101&pID=10100
· “中 ‘두 자녀 정책’, 여성 취업 장애물?…출산 가능성에 고용 외면 당해”, 뉴시스, 2015. 12. 11,
·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1211_0010472729&cID=10101&pID=10100
· “중국 두 자녀 정책 시행...추가 대책 시급”, OBS, 2016. 03. 09,
· http://www.ob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5073
· “中 두 자녀 정책 가로막는 장애물은?...‘韓과 똑같네, 똑같아’, WOW한국경제TV, 2016. 03. 07,
· http://www.wowtv.co.kr/newscenter/news/view.asp?bcode=T30001000&artid=A201603070170
· “‘두 자녀 허용’ 외치며 두 자녀 강요하려는 중국 - 숫자에만 치중한 인구 정책…‘인간 존엄 고찰 부족’ 비판”, 한국일보, 2015. 12. 03,
· http://www.hankookilbo.com/v/eb88646de7c14b3e9e903210eb4e4d3b
· “중국 여성 2000만 명, ‘두 자녀 정책’으로 피임해제 시술 전망”, 서울신문, 2016. 01. 25,
·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125500345
· “중국, 두 자녀 허용 후 불임클리닉 찾는 중년여성 급증”, 아시아투데이, 2016. 03. 20,
·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60320010012144
· “중국 2자녀 허용 후 ‘시험관 아기’ 희망 고령여성 급증”, 뉴시스, 2016. 05. 29,
·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529_0014115355&cID=10101&pID=10100
· “中 두 자녀 정책에 힘입어 산후 조리사 ‘열풍’”, YTN, 2015. 02. 13,
· http://www.ytn.co.kr/_ln/0104_201602130132197744
· “中 두 자녀 정책 시행…알리바바 티몰 1월 영․유아 거래액 27% 상승”, 플래텀, 2016. 02. 15,
· http://platum.kr/archives/54932
· “분유는 프리미엄...옷은 물려입기...중국 ‘두 자녀 수혜주’ 엇갈린 주가”, 한국경제, 2016. 04. 10,
· http://stock.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41019671
· “두 자녀 허용 덕분? 중국 남녀 성비도 개선”, 서울경제, 2016. 04. 21,
· http://www.sedaily.com/NewsView/1KV4GII8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