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심근경색 케이스스터디입니다.
- 최초 등록일
- 2018.05.06
- 최종 저작일
- 2017.08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성인간호학실습 심근경색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 바이탈기록, 환자 사정지, 약물, 각종 검사들을 꼼꼼하게 넣었습니다.
PTCA 스텐트 시술에 관련된 설명도 넣었습니다.
간호문제 2개 간호과정1개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 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2. 약물
3. 진단 검사
4. PTCA stent 시술
5. 간호 문제
6. 간호 진단
7.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실습지가 심뇌혈관질환 집중치료실인 만큼 실습지의 전공 질병에 대해 많이 보게 되었고 그중에 식생활과 생활 습관의 서구화로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동맥경화에 의한 심장 질환 및 뇌졸중이 암을 제치고 사망 원인의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동맥경화에 관한 심장질환 중 심근 경색증인 MI에 대해 알아 보았다. MI에 대해 알아가면서 간호과정에 따른 간호를 공부하게 되었다. 그렇게 공부하면서 그러면서 스스로 좀 더 어떤 간호사에 가깝게 어떻게 간호를 해 줄지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2. 문헌 고찰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 원인
주원인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중에 갑자기 발병된다.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은 죽상반이 파혈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드물게는 관상동맥의 색전증이나 손상, 혈관염 또는 수술 후 쇼크 심한 탈수증 저혈압 등으로 관상동맥의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 될 때도 발생된다.
● 병태생리
관상동맥이 혈전에 의해 30분 이상 지속적으로 완전히 막히면 허혈 상태의 심근세포에 괴사가 시작된다. 심근경색부위의 형태학적 변화는 폐색된 후 시간경과에 따라 다르며 첫 12시간까지는 괴사된 심근조직이 육안으로는 정상적으로 보인다. 18~24시간이 지나면 육안으로 괴사부위를 식별할 수 있고 적갈색의 심근이 빈혈을 일으켜 회갈색으로 변한다. 괴사층의 병리적 소견은 심근허혈의 정도에 따라 외층의 허혈층과 중간층의 심근 상해, 완전히 혈류가 차단된 중앙부위의 괴사층을 볼 수 있다. 2~4일이 경과되면 괴사부위가 명확해지고 4~7일쯤이면 측부순환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7~10일이 되면서 괴사부위는 점차 회색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일어난다. 10일~6주 동안에 섬유성 반흔조직으로 점차 대치되면서 치유되지만 심장기능은 현저히 약해진다. 환자는 6~8주가 지나야 질환으로부터 회복된다.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Ⅰ(일곱째판)- 김금순 외 / 수문사(201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04165&cid=51003&categoryId=51022
부산대학교병원 심뇌혈관센터 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