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민균 외11명, 『아동발달』, 창지사, 2005, p311-319
· 김경중 외11명, 『아동발달심리』, 학지사, 1998, p261-264
· 김나연, 이영화, 이재원, “성별차이에 따른 길 찾기에 관한 연구 - 코엑스 몰을 중심으로-”, (2011)
· 김영미, 『아동발달』, 정빈사, 2010, p337-346
· 김예빈, “부모의 사회화 양육신념과 남·여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2003), p15-21
· 김정옥, “성의 발달과 아동의 생활환경에 관한 고찰”, 社會科學硏究, Vol.1No.1, (1995)
· 김현정, “부모의 훈육방식과 아동기 문제 행동에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01),p83-86
· 문화진, “정신회전 과제수행의 성차에 대한 인지과정 분석:”, 숙명여자대학교(2010),p38-42
· 박상미, “초등학생의 공감하기, 체계화하기, 사회성숙도 간의 관계 및 성차,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2010), p10-15
· 서미정, “아동과 청소년의 외현적, 관계적 공격성의 성별차이 및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2011)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 용어사전』, 1995
· 송관재, 『성과심리』, 학문사, 2000
· 송명자, 『발달심리학』,학지사, 1995, p303-309
· 신유림, “유아기의 신체적 및 관계적 공격성 : 성차 및 언어, 사회적 능력과 관련성, (2008)
· 신정엽, “공간인지의 성별차이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지리 교육적 함의”, (2009)
· 안성우, 김미경, 김유, “아동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음운 인식 능력의 차이에 대한 연구”, (2009)
· 유연경, “성별에 따른 아동의 공감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2012), p23
· 윤용희, “여성선진국의 여성의 고위 정책직 실태와 확대방안” 정치·정보연구제4권2호(2001), p44-51
· 이경희, “차별기능 문항 군추출 방법을 활용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에서의 성차 탄생,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2004), p51-54
· 정명진, “청소년 적성검사 공간 능력 영역에서의 성별에 따른 차별적 문항 기능 추출”,
·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2003),p27-29
· 채규만, 『성행동심리학』, 학지사, 2006, p41-61
· D. E. Papalia 외2명, 『인간 발달II』, 정옥분 옮김, 교육과학사, 1992, p293-294
· EBS 제작팀, 『아이의 사생활』, 지식채널, 2008, p162-169
· JOHN W. SANTROCK, 『A Topical Approach to Life-Span Development』, McGrawHill, 2004
· Robert V. Kail, Rita Wicks-Nelson, 『Developmental Psychology』, 교보문고, p378-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