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이주 ‧ 이영애(2010). 노인들의 노동시장 참여형태와 동거유형이 건강수준 및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9(6), 1031-1044.
· 김기룡 ․ 김삼섭(2012).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장애수용태도 유형별 가정환경,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핵심역량 특성. 정서 ․ 행동장애연구. 28(2). 279-304
· 김나영(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와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나영 ‧ 윤호열(2000). 정신지체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가족결합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8(7), 53-65.
· 김대명(2014). 생활사건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직장여성과 전업주부의 비교. 한국교육문제연구, 32(2), 113-131.
· 김명 ‧ 고승덕 ‧ 김영복 ‧ 김혜경 (2014). 보건교육·건강증진 이론. 서울: 계축문화사.
· 김미숙 ‧ 박민정(2000). 종교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노년학. 20(2), 29-47.
· 김미옥 ․ 박현정 ․ 이은실(2016). 발달장애인 부모의 양육부담과 장애자녀에 대한 긍정성 인식의 관계: 사회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7(2), 309-330.
· 김석일(2004).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선옥 ‧ 김성훈(2014).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들간 양육스트레스 및 대처행동의 차이-국공립 통합 보육시설 어머니를 대상으로-.장애아동인권연구, 5(1). 17-29.
· 김수정(2006). 노인의 종교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분석-사회적 지지 및 실존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3(단일호), 29-50.
· 김수현(2013). 노인의 자원봉사 참여가 신체적 건강, 우울,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3, 53-66.
· 김신열(2004). 종교 활동 참여가 미주 한인 노인들의 정신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5, 147-168.
· 김예리 ‧ 박지연. (2010). 장애아동 부모들의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이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역량강화 및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4, 445-465.
· 김용득 ․ 유동철(2001). 한국 장애인복지의 이해. 서울: 인간과 복지.
· 김윤희 ‧ 김진숙. (2014).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장애수용 과정. 상담학연구, 15(5), 1911-1935.
· 김인옥 ․ 이원령(2011). 장애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27(1). 101-120
· 김정아(2003). 장애아동의 발달 연령에 따른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지연(2011). 장애아동부모의 가족여가활동과 양육스트레스.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진영 ‧ 송예리아(2012). 여가활동의 질과 건강의 관계. 보건과 사회과학, 32, 115-144.
· 김혜경(2003). 자기결정훈련프로그램이 정신지체고등학생의 자기규칙과 심리적역량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4(2), 87-108.
· 김홍록 ‧ 이광욱(2008). 여성노인의 여가활동참가와 신체적 건강 및 행복감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4(1), 671-680.
· 남연희(2001). 정신지체아동 어머니의 양육부담 경감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 문진하(2009). 뇌성마비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우울 및 양생과의 관계. 동서간호학연구지, 15(2), 127-134.
· 박경(2009).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연구, 17(4), 369-378.
· 박병선(2012). 자살성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와 우울의 상호적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보건사회연구, 32(3), 485-521.
· 박지연 ‧ 김영란 ‧ 김남희(2010). 문제행동이 장애아 가족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의 대처방식에 관한 질적 연구. 정서· 행동장애연구, 26(3), 17-43.
· 백은령 ․ 김기룡 ․ 유영준 ․ 이명희 ․ 최복천(2010). 장애인가족지원. 경기:양서원
· 서미혜 ‧ 오가실. (1993). 만성질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3(3), 467-486.
· 서민정 ‧ 장은진 ‧ 정철호 ‧ 최상용. (2003).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감,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8(1), 69-81.
· 설민신 ‧ 한신희 ‧ 황승숙 ‧ 김은주 ‧ 김영돈. (2000). 노인건강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서울: 학문사.
· 신종순 ‧ 김민희. (2006). 노인의 댄스스포츠 참여가 정서적 건강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5(3), 151-158.
· 양연숙(2007).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비교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1). 17-26
· 오가실(1997). 사회적 지지모임이 발달지연아 어머니의 부담과 안녕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7(2), 389-400.
· 유영준 ․ 백은령(2013). 가족중심실천이 장애아 가족의 양육부담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복지학, 22(22), 207-224.
· 윤민석(2013). 서울시 성인 발달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실태와 정책 추진방안. 정책리포트, 154, 1-17.
· 윤지은 ‧ 전혜정(2009).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와 정신건강. 한국노년학, 29, 743-759.
· 이경학(2016). 발달장애인 부모의 양육부담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평택대학교
· 이경호 ‧ 강정화. (2008). 장애아동부모의 여가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사교육연구, 47(3), 119-135.
· 이금진(2008).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망 지원정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1), 43-61
· 이선이(1995). 가정주부와 취업주부의 생활사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9(2), 69-79.
· 이숙자 ‧ 오수성(2006).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한국상담학회. 7(1), 27-45
· 이정아(2016).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평가,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이한우(2002). 발달장애아동 가족지원 특성과 양육스트레스 연구. 정서학습장애연구. 18(3). 327-349
· 전혜정. (2004). 노년기 종교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5(단일호), 169-186.
· 정재권 ․ 최경숙(2001).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문제에 대한 대처행동 특성.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2(3). 41-64
· 정종화 ․ 김용성(2014). 자폐성장애인의 지역사회 케어서비스 연구-장애 어머니의 양육경험을 중심으로-. 재활복지, 18(1). 215-239
· 정준구(2009). 장애자녀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가족여가 및 가족기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강남대학교.
· 최정실 ․ 이민희(2005). 장애유형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3(3). 43-50
· 하수민 ‧ 윤종희(2002).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1), 191-200.
· 한수정(2010). 장애아동부모의 자조집단 활동과 부모의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한국장애인개발원(2013). 2013 전국 성인 발달장애인 복지서비스 실태조사
· Adamson, J., Lawlor, D. A., & Ebrahim, S. (2004). Chronic diseases, locomotor activity limit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in older women: cross sectional survey of British Women’s Heart and Health Study. Age and ageing, 33(3), 293-298.
· Allik, H., Larsson, J. O., & Smedje, H. (2006).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rents of school-age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or high-functioning autism.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4(1), 1.
· Brodaty, H., & Green, A. (2002). Defining the role of the caregiver in Alzheimer’s disease treatment. Drugs & aging, 19(12), 891-898.
· Burr, J. A., Tavares, J., & Mutchler, J. E. (2011). Volunteering and hypertension risk in later life.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3(1), 24-51.
· Cantwell, J., Muldoon, O. T., & Gallagher, S. (2014). Social support and mastery influence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poor physical health in parents caring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5(9), 2215-2223.
· Cox, T., Leka, S., Ivanov, I., & Kortum, E. (2004). Work, employment and mental health in Europe. Work & Stress, 18(2), 179-185.
· Cohen S, Herbert TB (1996) Health psychology: Psychological factors and physical disease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psychoneuroimmunolog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7(4): 113–142.
· Daniel, Kim, Subramanian, S.V., Kawachi, I. (2008). Social capital and physical health–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Springer. New York: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LLC. 139-190.
· Emerson, E. (2003). Mother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mental health status, and the self‐assessed social and psychological impact of the child's difficul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7(4‐5), 385-399.
· Emmons, K. M. (2000). Health behaviors in a social context. Social epidemiology, 242-266.
· Gallagher, S., & Hannigan, A. (2014). Depression and chronic health conditions in parent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growing up in Ireland cohort study.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5(2), 448-454.
· Gallagher, S., & Whiteley, J.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physical health in parents caring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moderated by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ur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8(9), 1220-1231.
· Hedov, G., Annerén, G., & Wikblad, K. (2000). Self-perceived health in Swedish parents of children with Down's syndrome. Quality of life research, 9(4), 415-422.
· Ho, A., Collins, S. R., Davis, K., & Doty, M. M. (2005). A look at working-age caregivers’ roles, health concerns, and need for support. Issue Brief (Commonwealth Fund), 854, 1-12.
· Kawachi, I., Subramanian, S. V., & Kim, D. (2008). Social capital and health. In Social capital and health (pp. 1-26). Springer New York.
· Koenig, H. G., Hays, J. C., Larson, D. B., George, L. K., Cohen, H. J., McCullough, M. E., ... & Blazer, D. G. (1999). Does religious attendance prolong survival? A six-year follow-up study of 3,968 older adul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54(7), M370-M376.
· Leonard, B. J., Johnson, A. L., & Brust, J. D. (1993).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comparison of those managing" OK" and those needing more help. Children's Health Care, 22(2), 93-105.
· Llewellyn, G., Dunn, P., Fante, M., Turnbull, L., & Grace, R. (1999). Family factors influencing out‐of‐home placement decision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3(3), 219-233.
· Lloyd, R. J., Wehmeyer, M., & Davis, S. (2004). Family support. IN D. E. Broli & R. J.Loyd, (Eds.), Career development and trasition services (4th ed., pp.94-116). Upper Saddle River, NJ : Pearson Prentice Hall.
· Lutgendorf, S. K., Russell, D., Ullrich, P., Harris, T. B., & Wallace, R. (2004). Religious participation, interleukin-6, and mortality in older adults. Health Psychology, 23(5), 465.
· Miodrag, N., & Hodapp, R. M. (2010). Chronic stress and health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Current opinion in psychiatry, 23(5), 407-411.
· Montgomery, R. J., Gonyea, J. G., & Hooyman, N. R. (1985). Caregiving and the experience of subjective and objective burden. Family relations, 19-26.
· Mugno, D., Ruta, L., D'Arrigo, V. G., & Mazzone, L. (2007). Impairment of quality of life in paren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5(1), 22.
· Olsson, M. B., & Hwang, C. P. (2008). Socioeconomic and psychological variables a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parental well‐being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52(12), 1102-1113.
· Pinquart M, Sorensen S (2003) Differences between caregivers and noncaregivers in psychologic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A meta-analysis. Psychology and Aging 18(2): 250–267.
· Ramachandruni S, Handberg E, Sheps DS (2004) Acute and chronic psychological stress in coronary disease. Current Opinion in Cardiology 19(5): 494–499.
· Sanderson, C. A. (2004), Health psychology, John Wiley & Son, Hoboken, NJ
· Schieve, L. A., Blumberg, S. J., Rice, C., Visser, S. N., & Boyle, C.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autism and parenting stress. Pediatrics, 119(Supplement 1), S114-S121.
· Scholl, K. G., McAvoy, L. H., Rynders, J. E., & Smith, J. G. (2003). The influence of an inclusive outdoor recreation experience on families that have a child with a disability. Therapeutic Recreation Journal, 37(1), 38-57.
· Schulz, R., & Beach, S. R. (1999). Caregiving as a risk factor for mortality: the Caregiver Health Effects Study. Jama, 282(23), 2215-2219.
· Schulz, R., & Martire, L. M. (2004). Family caregiving of persons with dementia: prevalence, health effects, and support strategie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2(3), 240-249.
· Serrano-Aguilar, P. G., Lopez-Bastida, J., & Yanes-Lopez, V. (2006). Impa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perceived burden of informal caregivers of individuals with Alzheimer’s disease. Neuroepidemiology, 27(3), 136-142.
· Thoits, P. A., & Hewitt, L. N. (2001). Volunteer work and well-be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15-131.
· Ware Jr, J. E., & Sherbourne, C. D. (1992).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473-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