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보건기구, http://www.who.int/
· 미래창조과학부ㆍ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6 기술영향평가 보고서–가상ㆍ증강현실 기술-, 2017.
· 최창열ㆍ이우범. KS 표준 시표를 이용한 손-동작 인식 기반의 자가 시력 측정 시스템, 신호처리ㆍ시스템학회 논문지, 제11권, 제4호,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10, pp.303-309.
· 강현식, http://www.eyeng.com/yellow/?m=1&Tmode=view&no=2169, 2009.
· 한국표준협회, 한국산업규격 Q ISO 3:2002, 표준수-표준수 수열, 2007.
· 한국표준협회, 한국산업규격 P ISO 8596:2006, 안광학-시력검사-표준시표와 그 표시법, 2006.
·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
· 원광현, 박재희, "감성공학과 가상현실", 한국정밀공학회지, 제18권, 제2호, 2001, pp.40-45.
· Digi-Capital, https://www.digi-capital.com/
· 권오영, 가상현실 시스템을 이용한 패션쇼핑매장 공간계획에 관한 설계안,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한국정보문화진흥원, 가상현실의 체험과 현실세계의 상호성, 2004.
· 양웅연, 이건, 손욱호, 최진성, “조선소 생산 기술 향상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뮬레이션", 정보처리학회지, 제16권, 제4호, 2009, pp.57-63.
· Hereld, M., I. R. Judson and R. L. Stevens, “Introduction to Building Projection-based Tiled Display Systems", IEEE Computer Graphics and Applications, Vol.20, No.4, 2000, pp.22-28.
· 윤지현, 3차원 입체 홀로그래피의 효율적인 가상공간 시뮬레이션,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조윤성, HMD의 시지각 확장에 따른 증강현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체계화 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Withrington, R. J., “Optical Design Of A Holographic Visor Helmet-Mounted Display,” Proc. SPIE, Vol.147, 1978, pp.161-170.
· 박경애, 포토폴리머를 이용한 full color HMD용 HOE의 특성연구,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양아영, 이재규, “가상 전시공간에서의 HMD를 활용한 체험 특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47권, 2017, pp.275-287.
· Juan, M. C. and J. Calatrava, “A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the Treatment of Phobia to Small Animals Viewed Via an Optical See-Through HMD: Comparison With a Similar System Viewed Via a Video See-Through HMD,”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Vol.27, No.5, 2011, pp.436-449.
· 20. 임익수, 우탁, “HMD 기반의 가상현실 콘텐츠 디자인 방법론 개발을 위한 탐색 연구”, 한국영상학회논문집, 제14권, 제4호, 2016, pp.91-106.
· 김진곤, “스마트폰을 활용한 HMD에서 스테레오이미지의 정합성 구현방안”,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제51권, 2015, pp.78-90.
· 전경란, “HMD 기반 가상현실 영상의 시각적 특징에 대한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13권, 제1호, 2017, pp.66-83.
· 삼성전자, http://http://www.samsung.com/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