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심근경색 사례보고서 <자세함>
- 최초 등록일
- 2018.03.17
- 최종 저작일
- 2017.04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급성심근경색 사례보고서 입니다.
차례대로 잘 정리되어있습니다.
질환보고서도 안에 내포되어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3. 문헌고찰
4. 증상
5. 검사
6. 치료 및 간호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계획-중재-평가
3.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원인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관상동맥의 가장 안 쪽 층은 내피세포가 둘러싸고 있는데, 이 내피세포가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흡연 등에 의해서 손상을 받게 되면 죽상경화증이 진행된다. 죽상경화증은 동맥 내벽에 노폐물 덩어리인 지방이나 죽종이 형성되어 혈관내강이 좁아진 상태를 말한다. 관상동맥이 지속적인 손상을 입으면 혈소판과 지질이 축적 되어 죽상반이 형성된다. 죽상반이 점점 커지면서 혈관 평활근의 탄력성이 저하되고 결국 동맥 내강이 좁아져 혈액의 흐름을 차단하여 심장 일부에 괴사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드물게 관상동맥의 색전증이나 손상, 혈관염 또는 수술 후 쇼크, 심한 탈수증, 저혈압 등으로 관상 동맥의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될 때도 발생한다.
<중 략>
①흉통 : 대부분의 환자들은 흉통을 호소한다. 가슴을 쥐어짜는 듯한, 무겁게 짓눌리는 듯한 분쇄통(crushing pain)으로 30분 이상 지속된다. 이 통증을 가슴중앙이나 가슴 좌측에서 느낀다. 좌측 팔과 등, 턱으로 방사되기도 한다. 보통 아침에 발현되고 주로 마약성 진통제에 의해 완화된다.
②호흡곤란 : 좌심실 심근의 20% 정도에 괴사가 오면 심부전이 발생한다. 심박출량이 감소되고, 저산소증, 소변량이 줄어들고, 폐울혈이 일어나 호흡이 곤란하게 된다. 좌심실에 40% 이상 괴사가 일어나면 심장성 쇼크가 일어나 혈압이 하강되고 피부가 창백해지며, 사지냉감, 식은땀,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③오심/구토, 불안
④염증반응 : 발병 24시간 내에 38℃정도의 미열이 나타나서 1주 정도 지속된다. 이는 심근세포 의 사멸로 인한 생리적 염증과정으로 오는 전신반응이다. 또한 심근경색으로 인한 통증 시작 수 시간 후부터 백혈구가 증가되어 48시간 후 호중구가 괴사된 심근 조직을 제거한다. 백혈구 증가 는 일주일 정도 지속되고, 염증 반응으로는 CRP수치가 올라간다.
참고 자료
2016 현문사 성인간호학[상권] 대표저자 조경숙 외 9명 페이지 679~705
[네이버 지식백과] 심근경색증 [myocardial infarct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