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관리
- 최초 등록일
- 2018.02.18
- 최종 저작일
- 2010.02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감염관리
본문내용
1.기초학습
1)감염의정의
감염은 미생물(세균,바이러스,곰팡이, 기생충) 이 민감한 숙주로 침입하여 질병을 일으키는것이다. 미생물이 숙주내로 침임하여 증식만 하고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은 집락화(colonization)라하고, 정상조직을 손상시키거나 기능장애를 초래하는 것은 감염이라한다.
2) 감염회로
감염이 일어나려면 병원성 미생물(microorganism), 저장소(reservoir), 출구(portal of transmission), 입구(portal of entry), 민감한숙주(susceptible host) 의 6개요소가 필요하며 이 요소들의 연결을 감염회로라 한다.
(1) 병원성 미생물
병원성 미생물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이 있으며 이들은 유기체에 서식하면서 감염성 질환을 일으킨다.
(2) 저장소
저장소는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과 증식을 위한 자연 서식지로 사람, 동물, 토양, 음식, 대소변등이있다.
(3)출구
병원성 미생물이 저장소에서 빠져 나가는 출구로 는 소화기계, 호흡기계, 비교생식기계, 혈액 피부등이 있다.
(4) 전파방법
병원성 미생물은 접촉(contact)등에 의해 전파된다.
접촉전파의 종류에는 직접접촉과 간접접촉이 있다. 직접접촉은 감염된 사람과 신체적 접촉을 통해 다른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을 말하며, 간접접촉은 오염된물체와 접촉하여 전파되는것이다. 비말전파는 비말 핵이 기침, 재채기, 말하기 등으로 90cm 이내에 있는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것이다. 공기전파는 5이하의 작은 입자가 공기를 통해 다른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이다. 매개물에 의한 전파는 음식, 물, 혈액 , 오염된 물체 와 같은 매개물에 의해 전파되는것이다.
(5)입구
탈출했던 출구와 같은 경로로 침입한다.
(6)민감한 숙주
감염의 위험에 처해있는 사람으로 숙주가 병원균에 대해 갖는 저항 능력인 감수성이 높은 상태로서 흔히 면역 능력이 저하된 환자가 이에 해당된다.
3)감염단계
감염단계는 잠복기, 전구기, 질병기, 획복기의 4단계로 구분 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