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윤리]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의사결정-치료와 간호의 보류와 중단
- 최초 등록일
- 2017.12.04
- 최종 저작일
- 2017.1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lily**** (본인인증회원)
13회 판매

소개글
간호 윤리 중 사례를 뽑아 그에 해당하는 윤리적 의사결정을 한 레포트입니다.
간호 사례에 해당하는 윤리규칙과 윤리원칙에 대한 이론적 정리와 이론에 근거한 의사결정 내용이 포함되어있습니다.
목차
1. ‘치료와 간호의 보류와 중단’ 에 알맞은 윤리적 갈등 사례
2. 해당 주제에 해당하는 학습
1) 의무 주의
2) 윤리 원칙
3) 윤리 규칙
3. 윤리적 의사결정
1) 윤리문제의 규명과 자료수집 : 사정단계
2) 핵심 참여자 확인 및 선택사항 확인 : 분석단계
3) 기대되는 결과 확인 : 계획단계
4) 논의
4. 느낀점
본문내용
2. 해당 주제에 해당하는 학습
1) 의무 주의
‘의무주의’에서의 옳고 그름은 행위의 결과와는 상관없이 단지 의무에 근거한 법칙과 규칙에 의하여 그 행동의 옳고 그름이 판단된다. 칸트주의에서는 정언명령이 있는데 이것은 모든 사람들이 언제 어디서나 적용할 수 있는 절대적인 도덕규칙이다. 합리적인 사람이면 누구나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주어진 상황에서 옳은 행동에 대한 지식이며 일종의 격률이다. 그러므로 정언 명령은 예외를 인정하지 않는 도덕규칙으로서 ‘~을 하라’ 혹은 ‘~을 하지 마라’와 같은 강제적 명령의 형태를 취한다.
위의 사건에서도 합리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직관적으로 의사가 권하는 합리적인 치료방법을 이행함으로서 환자를 살려야하는 것이 옳다. 수혈을 하지 않음으로서 ‘사람을 죽이지마라’와 같은 정언 명령을 어긴 것으로 판단된다.
2) 윤리 원칙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사람이 자신의 생각을 가지고 선택을 하며, 개인적 가치와 신념을 가지고 행동할 권리를 가지는 것을 인식한다는 의미이다. 이 사건에서 환자는 자율성을 발휘하지 못해 보호자에게 자율성의 원칙이 적용된다. 자율성 존중의 원칙에 따라 진료를 거부할 권리가 있다. 이 때문에 윤리적 딜레마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의 원칙 : 단순히 악행금지의 원칙처럼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정도가 아니라 이를 넘어서 그를 적극적으로 도와주는 행동을 요구한다. 타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옹호하기, 타인에게 발생하는 피해를 예방하기, 무능력한 사람을 돕기, 위험에 빠진 사람을 구하는 등의 의무가 있다. 이 사건에서 환자의 보호자들은 치료를 거부하고 있지만 치료를 하지 않았을 때 일어날 결과에 대해 알고 있는 의료진들은 선행의 원칙에 따라 치료를 강행할 수 있다. 앞의 자율성 존중의 원칙과 대립하여 딜레마가 발생한다.
참고 자료
고명숙·김태숙 외 공저(2011). 간호학개론. 수문사
네이버. “양심”,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nexearch&query=%EC%96%91%EC%8B%AC&oquery=%EC%B0%B8%EA%B3%A0%EB%AC%B8%ED%97%8C+%ED%91%9C%EA%B8%B0%EB%B2%95&tqi=TQ01kspySDCssuas4ulssssss5l-466091, (2017.11.3.)
“‘여호와의 증인’ 부부 수혈 거부로 심장병 딸 숨지게... 왜곡된 종교적 신념”, 국민일보, 2010년 12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