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품개관
1.1. 숙향전의 인기와 유명세
<숙향전>은 17세기 말엽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국문소설이다. 숙향전(熟香傳)·요조슉향젼·이화정기(梨花亭記)·이화정우기(梨花亭奇遇記)·이화정기적(梨花亭奇跡)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국문본·한문본 및 목판본·필사본·활자본이 모두 전해지는데, 이본이 약 80~90여 종에 육박한다. 이본이 다양하다는 것은 그만큼 <숙향전>이 애독되었음을 말해준다. 특히 한문본이 존재한다는 것은 한자를 아는 양반까지 향유층이 확대되었다는 점을 시사한다.
현재 남아있는 <숙향전>에 대한 기록은 그 당시 <숙향전>이 얼마나 인기 있는 작품이었는지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조선 후기 여항시인 중 한 명인 조수삼이 『추재집』에 남긴 다음의 기록을 보면,
‘전기수는 동문 밖에 살았다. 입으로는 언과패설(諺課稗說)을 외는데, <숙향전>, <소대성전>, <심청전>, <설인귀전> 등과 같은 전기(傳奇)였다. … (후략)’
<숙향전>이 전기수가 구연했던 작품으로 언급되고 있다. 돈벌이가 목적인 전기수가 <숙향전>을 주요 구연 목록으로 정했다는 것은 <숙향전>이 그만큼의 인기를 누렸을 것을 짐작하게 해준다.
또한 <숙향전>은 한국어 학습교재로 활용되었다고 한다. 조선 후기 일본인 통역관들이 <숙향전>, <이백경전>을 조선말 공부에 이용하였다는 기록이 존재한다. 그 당시 이미 국외에까지 알려질 정도로 유명한 작품이었다는 뜻이다.
1.2. 숙향전의 작품개관
작자 미상, 연대 미상
갈래 : 국문소설, 적강소설, (영웅소설, 애정소설)
특징 : '숙향전'의 기본 구조는 '출생-성장-만남-이별-재회-완성'이라는 인물의 일대기 구조로 전개되며, 고난과 극복, 과제와 해결, 시혜와 보은이라는 형식이 중첩되어 전개된다.
천상계와 지상계의 이원적 공간이 설정됨
주인공 숙향이 영웅으로서의 능력은 구비하지 못함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2016.04.14.
· 시몬느 비에른느 지음, 이재실 옮김, 『통과제의와 문학』, 문학동네, 1996.
· 경일남, 「숙향전의 고난 구조와 결연의미」, 『한국 고전 소설의 구조와 의미』, 역락, 2002.
· 김문희, 「<숙향전>의 환상성의 창출양상과 의미」, 『한민족어문학 47』, 2005
· 김수연, 「소통과 치유를 꿈꾸는 상상력, 〈숙향전〉」, 『한국고전연구 23』, 2011
· 김수연, 「소통과 치유를 꿈꾸는 상상력, <숙향전>」, 한국고전연구 제23집, 2011, p.429-459
· 문용식,「謫降 및 幻生話素의 쓰임새」, 한양어문연구 제11집, 1993.12, p.209-248
· 민경록, 「<숙향전>의 서사 구조와 의미 연구」, 文化傳統論集 제8집, 2000, p.103-126
· 백선화, 「<숙향전>의 공간이동 양상과 그 의미」,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서혜은, 「<숙향전>의 개작 양상과 그 의식 - 박순호 소장 43장본 <숙향젼이라>를 대상으로」, 『문학과언어 31』, 2009
· 성현경, 「숙향전론」, 『옛소설론』, 새문사, 1995.
· 성현경, 『한국고설의 구조와 실상』,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2.
· 손정민, 「<숙향전>의 흥미성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신재홍, 「숙향전의 미적 특질」, 『이수봉박사정년기념 고소설연구논총』, 경인문화사, 1994
· 엄태웅, 「17세기 전기소설에 나타난 남녀 관계의 변모 양상」, 한문학논집 통권 29호, 2009, p.133-162
· 이상구, 「숙향전의 문헌전 계보와 현실적 성격」, 고려대 박사논문, 1994
· 장석기, 「숙향전 연구」, 『교육연구 11』, 2013
· 전성운, 『조선후기 장편국문소설의 조망』, 보고사, 2002
· 조재현, 「고소설에 나타나는 환상계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조혜란, 「<숙향전>의 숙향 : 청순가련형 여성주인공의 등장」, 고소설연구 34권 0호, 2012, p.39-63
· 차충환, 『숙향전 연구』, 월언, 1999
· 최기숙, 『17세기 장편 소설 연구』, 월인,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