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실습 구개열, 구순열, 황달 케이스 nicu case
- 최초 등록일
- 2017.11.29
- 최종 저작일
- 2016.11
- 2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아동간호실습을 하면서 작성한 자료입니다.
아동 마지막 실습이라 다양한 참고문헌을 참고하여 알차게 구성하였습니다.
간호진단 3가지를 내려 간호과정을 자세하게 (간호사정-주관적/객관적,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작성하였습니다.
질병연구도 구순구개열, 황달 꼼꼼하고 보기 쉽게 정리하여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목차
Ⅰ. 환아 간호력
Ⅱ. 질병에 관한 문헌정리
- 구순구개열
- 황달
Ⅲ. 간호과정
Ⅳ. 투약
본문내용
1. 구순열(Cleft lip)과 구개열(Cleft Palate)
(1) 정의
구순열과 구개열은 얼굴에서 가장 흔한 선천성 기형의 하나로, 우리나라의 경우 약 650~1,000명당 한 명꼴로 나타나며, 얼굴이 만들어지는 임신 4~7주 사이에 입술(구순) 및 입천장(구개)을 만드는 조직이 적절이 붙지 못하거나 붙었더라도 유지되지 않고 떨어져서 생기는 입술 또는 입천장의 갈림증이다.
단순히 피부나 입천장 점막의 갈림증만이 아니라 근육, 연골, 뼈에 이르는 총체적인 변형을 야기하며, 따라서 입술, 입천장 이외에도 코, 치아, 잇몸 및 위턱 등의 성장과 형태에 영향을 미쳐 얼굴 전체가 비정상적으로 될 수 있다.
구개구순열을 적당한 시기에 올바르게 교정해 주지 못하면 안면골 성장에 지장이 있으며 이가 잘 맞지 않게 되고 언어발달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못하며 환아의 원만한 사회 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수술시기는 구순열은 생후 2-3개월경, 구개열은 10-18개월 사이에, 대개 2일-5일 사이의 입원을 거쳐 이루어진다.
▶ 구순열
구순열은 태아기 5~8주 사이에 비강 내 상악과 중앙선의 융합 부전으로 인해 발생한다.
토순의 정도는 윗입술의 작은 절흔(notch)에서부터 입술 전체가 분리되는 것 까지 다양한 범위에 이르며 이러한 분리는 일측성이 흔하지만 양측성일 수도 있다.
윗입술의 융합이 불완전하기 때문에 코가 옆으로 퍼지게 되고 비강은 대체로 편평하다.
▶ 구개열
구개열은 태아기 9~12주 사이 구개가 융합되지 못하고 개방된 상태를 말한다. 구개열은 보통 중앙선에서 발생하며 전방의 경구개나 후방의 연구개, 혹은 경구개와 연구개 모두에 걸쳐 발생할 수 있다.
구개열은 다요인적 유전이나 산모의 흡연과 같은 환경적 영향의 결과로 발생되며 여아에게서 더욱 흔하다.
참고 자료
김미예 외 (2009), 신생아 간호, 군자출판사
홍창의 (2008), 소아과학 제9판,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2007),
SEVERANCE Manual of Pediatrics, 연세대학교 출판부
대한신생아학회 (2004), 신생아 집중 치료 지침서, 광문출판사
최신아동건강간호학 (2016), 수문사
송미순 외,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