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학교 A+생명과학실험(생과실) 10과 신경반사
- 최초 등록일
- 2017.11.29
- 최종 저작일
- 2017.03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800원

판매자kwon**** (본인인증회원)
14회 판매

목차
1. Introduction
2. Materials & Method
3. Results
4. Discussion
본문내용
1. Introduction
- 이번 실험은 무릎반사 현상을 이용하여 반사궁의 구조, 반사활동이 일어나는 방식을 이해하고 신경반사 속도를 산출하는 실험이었다.
반사(reflex)란 외부의 자극에 대한 근육의 자동적 반응을 말한다. 이번 실험을 통해 확인해 볼 반사인 슬개반사(patellar reflex)는 무릎 바로 밑에 있는 슬개인대(patellar tendon)를 고무망치를 이용하여 살짝 치면 확인할 수 있다. 슬개반사가 일어나게 되면 대퇴사두근(quadriceps muscle)이 수축하고 그로 인해 다리가 저절로 들리게 되는 것이다.
근육이 늘어나면 신경의 신호가 생성되고 이 신호는 척수까지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신호는 운동신경을 통해서 근육으로 되돌아와 근육의 수축을 일으킨다. 이러한 반사궁(reflex arc, 특정한 반사에 관여하는 신경경로)은 일차적으로는 척수반사(spinal reflex)이지만, 그 외에 또 다른 경로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아래 그림은 신경 반사의 순서를 나타낸 그림이다.
<중략>
위의 그림처럼 일차적으로 피부에 자극이 생기면 감각 뉴런을 통하여 척수로 이동하게 되고 다시 운동 뉴런을 타고 운동이 필요한 부위로 신경이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근육은 자극에 대한 반응을 하게 된다. 이번 실험에서 수행해본 무릎 반사 현상을 살펴보도록 하자. 아래는 무릎반사 그림이다.
<중략>
앞서 설명한 것처럼 무릎 아래의 슬개 인대를 고무망치를 사용하여 자극을 주게 되면 이것을 감각수용체가 받아들여 감각 뉴런을 타고 척수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에 운동 뉴런을 통해 자극을 수용한 근육 부위로 응답을 보내게 되어 운동기관에서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위의 오른쪽에 위치한 그림은 무릎 반사의 경로를 나타낸 그림이다.
우리가 진행하게 될 실험은 수의적 반응과 불수의적 반응으로 나뉜다.
참고 자료
- 신경 반사의 순서 그림 : 아주대학교 생명과학실험 강의노트 슬라이드 5p 중 발췌
- 무릎 반사의 순서 그림 : 아주대학교 생명과학실험 강의노트 슬라이드 6p 중 발췌
- 무릎 반사의 경로 그림 : 아주대학교 생명과학실험 강의노트 슬라이드 9p 중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