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학교 A+생명과학실험(생과실) 9과 개체군의 성장
- 최초 등록일
- 2017.11.29
- 최종 저작일
- 2017.03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800원

판매자kwon**** (본인인증회원)
42회 판매

목차
1. Introduction
2. Materials & Method
3. Results
4. Discussion
본문내용
1. Introduction
-이번 실험은 개체군의 크기 증가에 미치는 서식환경 요인과 개체군의 성장률, 환경수용성에 대해 알아보는 실험이다. 이번 실험에서 1차생산성 측정 실험부분은 진행하지 않았다.
먼저 개체군의 크기는 아래의 그림으로 설명할 수 있다.
<중략>
개체군은 밀도에 따라 다른 개체군 생장률을 가지는데 개체군 성장이 환경수용력 근처에서 완만한가를 기술하고 있다. 위의 곡선처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체군의 크기가 무한히 증가하지 않고 로지스트 형과 같이 S자형을 그리는 이유는 개체군이 자원 부족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개체군이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개체군의 크기가 증가할 수 없는 것이다. 이때의 개체군의 최대 크기를 환경수용력 K라 한다. 환경수용력 K는 자원의 풍요도, 에너지, 은신처, 도피처, 토양 비옥도, 물 등에 따라 변하게 된다.
위의 로지스트형 곡선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 로지스트형 모형과 생활사
- 밀도가 높으면 각 개체가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이 적기 때문에 생장속도가 느리다.
- 밀도가 낮으면 생장속도가 빨라 자손을 많이 생산에 적응에 유리해진다.
- k 선택 : 집단이 항상 환경수용력에 가까운 고밀도로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 작용한다고 생각하는 선택의 하나. 개체군 밀도에 민감하여 개체군 크기를 극대화한- 다.
- r 선택 : 변동이 크고 예측이 어려운 불확실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한 선택 전략으로서 생존율과 번식률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빠른 생식, 빠른 성장, 많은 자손을 낳는 기회 전략을 택함. 개체군 밀도가 낮을 때, 개체당 증가율 r을 극대화한다.
아래의 식으로 개체군의 크기를 설명할 수 있다.
<중략>
위쪽의 식부터 살펴보자. 증가율은 N과 K의 크기에 의해 구분할 수 있다.
① N이 K에 가까워질수록 증가율이 감소한다.
② N=K일 때 증가율은 0이다.
③ N>K일 경우 증가율은 음의 수가 되어 생물량이 감소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참고 자료
- 개체군의 생장곡선 그림 : 아주대학교 생명과학실험 강의노트 슬라이드 3중 발췌
- 개체군 크기 설명 식 : 아주대학교 생명과학실험 강의노트 슬라이드 4중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