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우리나라는 전체면적이 약 70%가량이 산지로 되어있다. 이러한 지형적 여건으로 일찍부터 산성이 축조해 왔으며, 우리나라 산성이 특징적이고 대표적인 분포양상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산성의 발생 시기는 대체로 A.D.3세기경부터 축조되었다고 보고 있다.
산성은 외적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높은 요충지에 성벽을 축조하여 만든 군사 시설물이다. 삼국시대 산성은 생활지역 주변에 있어 유사시 입성하여 농성할 수 있는 산지에 위치하고 있다. 고대사회의 지방행정은 성을 중심으로 통치되었으며, 사비기 백제는 5방 37군이라는 지방통치체제를 시행하고 있었으며, ‘방-군-성’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박현숙, 1996, 「백제 사비시대의 지방통치체제 연구」, 『한국사학보』1, 고려사학회
이와 같이 성을 기본 행정단위로 두고 있어 산성이 지방행정 통치의 중심지로서의 역할도 하였다고 보여 진다.
산성은 형태와 입지, 축성재료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형태는 포곡식과 테뫼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포곡식은 성곽이 계곡을 포함하여 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말하며, 테뫼식은 계곡을 포함하지 않은 채 정상부를 두른 것을 말한다. 산성의 입지는 1812년 정약용에 의해 고로봉, 산봉, 사모봉, 마안봉으로 분류되었다. 축성재료는 토성, 석성, 토석혼축성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전남지역의 성곽 조사는 일제 강점기부터 시작 되었다. 본격적 조사는 1980년대 시·군에 의한 지표조사 실시 이후 이다. 전남지역에는 260개의 성곽이 확인되었는데, 그 중 산성은 75개가 확인되었으며,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로 분류된 것은 36개이다. 전남 동부지역에서 백제산성으로 확인된 것은 17개이다. 양해웅, 2003, 「전남지역 성곽의 권역별 비교고찰」,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남지방이 백제의 영향이 미치기 시작한 것은 근초고왕 24년(369년)부터로 보이며, 530년 전후로 사비백제기에 병합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확인된 전남지방의 고대 산성 중 백제 산성으로 확인된 순천 검단산성과 광양 마로산성 등 동부 권에 위치한 성곽들을 대상으로 축성재료와 형식, 구조를 파악한 뒤 당시의 방어체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三國史記』
· 임영진, 2001, 「전남지역 마한 제국의 사회 성격과 백제」,『백제학보』11, 백제학회
· 공석구, 1994, 「백제 테뫼식 산성의 형식분류」, 『백제연구』24,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심정보, 2001, 「백제 석축산성의 축조기법과 성격에 대하여」, 『한국상고사학보』35, 한국상고사학회
· 김호준, 2013, 「미호천 중상류의 백제토성 현황과 특징」, 『백제학보』10, 백제학회
· 배종무, 1989, 「강진군의 관방유적」, 『강진군의 문화유적』, 목포대학교 박물관
· 박태홍, 2010, 「백제산성 용수시설에 대한 검토」, 『한국상고사학보』69, 한국상고사학회
· 박태홍, 2007, 「전남 동부지역 백제산성의 분포와 그 의미」, 『한국상고사학보』56, 한국상고사학회
· 서정석, 2010, 「경남지역 고대 산성의 특징: 백제산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지역과 역사』26, 부경역사연구소
· 한병길, 2007, 「포곡식 부소산성 축성의 다양성」, 『한국상고사학보』55, 한국상고사학회
·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3, 『영산강유역 고대산성』
· 고용규, 1999, 「전남지역 성곽연구의 현황와 과제」, 『호남고고학보』10, 호남고고학회
· 고용규, 2001, 「한국남부지역 판축토성의 연구」, 『고문화』58,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양해웅, 2003, 「全南地域 城郭의 圈域別 比較考察」,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인선, 2002, 「전남 동부지역의 백제산성 연구」, 『문화사학』18, 한국문화사학회
· 최인선, 이동희, 1998, 『광양시의 산성』, 순천대학교 박물관
· 최인선, 박태홍, 2003, 『여수시의 산성』, 순천대학교 박물관
· 최인선, 2000, 「순천시의 성곽과 봉수유적」, 『순천시의 문화유적』 2, 순천대학교 박물관
· 최인선, 변동명, 박태홍, 2001, 『고흥군의 호국유적』 1, 순천대학교 박물관
· 임영진, 1992, 「보성군의 고고학 유적」, 『보성군 문화 유적 학술 조사』, 전남대학교 박물관
· 박현숙, 1996, 「백제 사비시대의 지방통치체제 연구」, 『한국사학보』1, 고려사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