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팬텀(Phantom)의 자기실현의 실패: 칼 구스타브 융(Carl Gustav Jung)의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을 중심으로

1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7.10.31 최종저작일 2016.10
15P 미리보기
팬텀(Phantom)의 자기실현의 실패: 칼 구스타브 융(Carl Gustav Jung)의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목차

    없음

    본문내용

    칼 구스타브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에 따르면 심리학은 문학 비평의 도구로 이용될 수 있다. 그는 저서에서 “인간의 마음이 모든 예술과 과학의 핵심이기 때문에 심리적 과정에 대한 연구인 심리학이 문학 연구를 위해 제공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It is obvious enough that psychology, being a study of psychic processes, can be brought to bear on the study of literature, for the human psyche is the womb of all the arts and sciences.”; Jung 86)고 언급했다. 그는 “심리적”(“psychological”; 89)인 문학이 인간의 “중요한 경험, 강력한 감정, 고통, 열정과 인간의 운명”(“crucial experiences, powerful emotions, suffering, passion, the stuff of human fate”; 89)을 소재로 삼아 “우리가 피하거나 간과하는 경향이 있는 일상의 사건”(“everyday happenings which we tend to evade or to overlook”; 89)을 깨닫게 한다고 말한다. 그는 요한 볼프강 폰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의 『파우스트』(Faust)를 예로 들어 원형을 설명하였고, 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 [1882-1941])의 『율리시즈』(Ulysses)를 의식의 해방과 정신분열증과 관련하여 비평하였다.

    <중 략>


    융은 자기실현을 의식과 무의식을 통합하여 사람 전체를 온전하게 실현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 내렸다.
    나는 ‘자기실현’이라는 용어를 가능한 한 단순하게 설명해보겠다. ‘자기실현’이란 인간을 독특한, 나눌 수 없는 한 사람 혹은 ‘온전한 인간’ 즉 ‘개인’으로서 만드는 정신의 과정 이다.

    참고자료

    · Chandler, David. ““What Do We mean by Opera, Anyway?”: Lloyd Webber’s Phantom of the Opera and “High-Pop” Theatre.” Journal of Popular Music Studies. 21.2 (2009): 152-69. Print.
    · Dobie, Ann B. Theory into Practice: An Introduction to Literary Criticism. Boston: Heinle, 2002. Print.
    · Drumright, Patricia. “The Phantom of the Opera: Spectacular Musical or Archetypal Story.” 21. Jan. 2013. Web. <http://fisherpub.sjfc.edu/cgi/viewcontent.cgi?article=
    · 1063&context=nepca>.
    · Hill, Bernice H. “Reflections on the Phantom of the Opera.” The Jung Page. Web. 27 October 2013. <http://www.cgjungpage.org/learn/articles/film-reviews/741-
    · -refletions-on-qthe-phantom-of-the-operaq>
    · Jones, Raya A., ed. Body, Mind and Healing After Jung: A Space of Questions. New York: Routledge, 2011. Print.
    · Jung, Carl Gustav. Four Archetypes: Mother, Rebirth, Spirit, Trickster. Trans. R. F. C. Hull. Princeton: Princeton UP, 1970. Print.
    · ---. Psychology and Alchemy. Trans. R. F. C. Hull. Princeton: Princeton UP, 1968. Print. Bollingen Ser. 12.
    · ---. The Integration of the Personality. Trans. Stanley M. Dell. New York: Farrar and Rinehart, 1939. Print.
    · ---. The Spirit in Man, Art, and Literature. Trans. R. F. C. Hull. Princeton: Princeton UP, 1966. Print. Bollingen Ser. 15.
    · ---. Two Essays on Analytical Psychology. Trans. R. F. C. Hull. Princeton: Princeton UP, 1966. Print. Bollingen Ser. 20.
    · Kurisko, Laraine P. A Jungian Perspective on the Nature of the Animus as Portrayed in the Andrew Lloyd Webber Musical Phantom of the Opera. Santa Barbara: Pacifica Graduate Institute, 1998. Print.
    · Lobell, John. “The Phantom of the Opera Or, How to Review an Archetypal Movie: a Primer.” Cinema Cultural Discourse. Web. 10 June 2014.
    · <http://www.cinemadiscourse.com/the-phantom-of-the-opera/>
    · Marsico, Katie. How to Analyze the Works of Andrew Lloyd Webber (Essential Critiques). Edina: Abdo Publishing Company, 2010. Print.
    · The Phantom of the Opera at the Royal Albert Hall. Really Useful Theatre Company, et al. Universal: Universal Studios Home Entertainment, 2012. DVD.
    · “The Carl Jung Thread - for All Discussions, Including Phantom, Pertaining to Jung.” Phantom of the Opera.com. Web. 20 March 2006. <http://www.phantomoftheopera.
    · com/site/modules/newbb/viewtopic.php?topic_id=9090>
    · Rowland, Susan. C. G. Jung and Literary Theory: The Challenge from Fiction.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1999. Print.
    · Snelson, John. Andrew Lloyd Webber. New Haven: Yale UP, 2004. Print.
    · Stein, Murray. Jung’s Map of the Soul: An Introduction. Chicago: Open Court, 1998. Print.
    · Wolf, Stacy Ellen. Changed for Good: A Feminist History of the Broadway Musical. New York: Oxford UP, 2011. Print.
    · Wildgen, Kathryn E. “Making the Shadow Conscious: the Enduring Legacy of Gaston Leroux.” Symposium 55.3 (2001): 155-167. Print.
    · Wrye, Harriet Kimble. “Deconstructing the Unconscious Saboteur: Composing a Life with Ambition and Desire.” International Forum of Psychoanalysis 15 (2006): 70-80. Print.
    · 설도윤. 『오페라의 유령, 가면을 벗다 :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에 관한 모든 것』. 고양: 숲, 2005. Print.
    · 이부영. 『분석심리학 -C. G. Jung의 인간심성론-』. 서울: 일조각, 1998. Print.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