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생물학실험] 현미경 사용법을 통한 미생물 관찰 및 균수 계측
- 최초 등록일
- 2017.10.22
- 최종 저작일
- 2017.10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판매자자연과학연구 (본인인증회원)
1회 판매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현미경을 이용한 미생물의 관찰과 총균수 측정에 관한 실험레포트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및 원리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5. 주의 사항
6. 실험 결과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가. 현미경의 구조와 사용법을 숙지한다.
나. 측미계를 이용하여 미생물의 크기를 측정한다.
다. Hematometer법을 이용한 총 균수 계측법을 이해한다.
2. 실험 이론 및 원리
가. 실험 배경
미생물의 크기는 100㎚(mycoplasma) ∼ 500㎛(나선균)정도이다 (1㎚=m, 1㎛=m) 미생물의 단위인 ㎚,㎛는 사람의 눈으로는 너무 작아서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현미경을 통해 생물을 관찰한다.
나. 현미경의 발달
1664년 Robert Hook이 처음으로 곰팡이의 자실체를 관찰하면서 시작
1684년 네덜란드의 상인인 Anton van Leeuwenhoek가 만든 현미경으로 세균을 관찰하면서 본격적으로 발달
다. 현미경의 종류
1) 광학 현미경: 광원이 빛이며, 대물렌즈 및 접안렌즈라고 부르는 2조의 렌즈를 조합하여 미소한 물체까지 확대하여 관찰하기 위한 광학기계.
① 대물렌즈의 근처에 물체를 두고 대물렌즈로 만들어지는 도립된 실상을 대안렌즈의 초점내 에 두어, 대물렌즈로 만들어지는 도립된 실상보다 더 확대된 상을 관찰.
② 현미경의 배율: 일정한 길이의 경통에서는 대물렌즈의 배율과 대안렌즈의 배율의 곱. 즉 확대배율은 대물렌즈가 1∼100배 정도이고, 접안렌즈가 5∼20배 정도, 종합배율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배율을 곱한 것으로 2,000배가량 된다.
③ 물체의 크기 측정: 대안 마이크로미터를 사용. 현미경 시야에서 관찰되는 대안 마이크로미터의 눈금의 길이는 배율에 따라 달라지므로 어 떤 배율에서 대안 마이크로미터의 한 눈금의 길이는 얼마라는 것을 미리 측정하여 현미경 옆에 붙여 놓고 물체의 크기를 측정한 후 계산.
④ 장점 : 생물을 건조시키지 않고 산 채로 관찰할 수 있다.
⑤ 단점 : 전자현미경에 비교하여 확대배율, 분해능에서는 떨어진다.
⑥ 광학 현미경의 종류
ⓐ 복합 현미경: 집광렌즈(집광기), 대물렌즈, 대안렌즈로 구성
ⓑ 단안 현미경: 대안렌즈가 하나
ⓒ 쌍안 현미경: 대안렌즈가 두 개여서 양쪽 눈으로 관찰
참고 자료
미생물학 실험서, 한국미생물학회, 을유문화사, 1998년, p.11~14
식품미생물학 실험서, 안병용, 석학당, 2004년, p.5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