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학 실험 cell growth curve 예비 보고서(부경대학교 생물공학과 미생물학실험 A+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19.11.04
- 최종 저작일
- 2018.03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미생물학 실험 cell growth curve 예비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미생물 생장곡선
(1) 유도기 (lag phase)
(2) 지수기(증식기) (log phase)
(3) 정체기 (stationary phase)
(4) 사멸기 (death phase)
2. 미생물 생장의 측정
1) 직접 세기
2) 세포 농도 측정
3.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본문내용
Cell Growth Curve (예비보고서)
실험 날짜 : 5월 4일 (금)
실험 제목 : Cell Growth Curve
실험 재료 : 세균, 시험관, 액체배지, 피펫,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실험 원리 :
1. 미생물 생장곡선
생장곡선이란 생물의 시간에 따른 생장을 그래프로 표시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발육과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하나, 생물학에서는 생체계의 양적 증가현상이라고 정의한다. 세포의 분열에 의한 증가는 증식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으며, 단순히 세포가 커지는 것은 생장이라고는 해도 증식이라고 하지 않은 것이 통상적이다.
미생물 세포의 증식은 무성생식으로 이루어지며, 대체로 두 개의 딸세포로 분리되는 이분법으로 증식한다. 돌연변이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 새로 생성된 딸세포는 유전적으로 기존의 모세포와 동일하며, 두 딸세포가 모두 생존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존의 세포 수보다 많이 생존하게 되면 세포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참고 자료
생명과학대사전, ‘생장곡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28680&cid=42411&categoryId=42411
WIKIPEDIA, ‘Bacterial growth’ https://en.wikipedia.org/wiki/Bacterial_growth
생명과학대사전, ‘유도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38501&cid=42411&categoryId=42411
식품과학기술대사전, ‘유도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07944&cid=50317&categoryId=50317
화학용어사전, ‘지수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09715&cid=50317&categoryId=50317
생명과학대사전, ‘정지상’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21952&cid=42411&categoryId=42411
물백과사전, ‘사멸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93500&cid=58341&categoryId=58341
WIKIPIDIA, ‘cell counting’ https://en.wikipedia.org/wiki/Cell_counting
생명과학대사전, ‘Counting chamber’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30153&cid=42411&categoryId=42411
123RF, ‘Counting chamber’ -사진자료 https://www.123rf.com/photo_81293484_blood-cells-on-the-scale-counting-chamber.html
생명과학대사전, ‘쿨터 계수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31742&cid=42411&categoryId=42411
화학용어사전, ‘분광광도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05915&cid=42420&categoryId=42420
책
(사)한국미생물학회 / (2011), [Microbiology 미생물학 1판], 범문에듀케이션, 11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