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표면 분석(AES/SAM)

"표면 분석(AES/SAM)"에 대한 내용입니다.
37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17.09.22 최종저작일 2004.01
37P 미리보기
표면 분석(AES/SAM)
  • 미리보기

    목차

    I. AES
    1. AES/SAM의 원리
    2. AES/SAM의 구조
    3. AES분석의 종류
    4. 충전효과(charging effect)
    5. 주요 적용 범위
    6. 시료 준비
    7. 장점과 단점

    II. 중에너지 이온산란을 이용한 극미세 표면/계면 분석법
    1. 머 리 말
    2. MEIS의 원리
    3. 표준과학연구원의 MEIS 장비 소개
    4. 표면/계면 화학조성 분석
    5. 맺 는 말

    III.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SIMS)
    1.SIMS 원리
    2.SIMS의 구조
    3.SIMS를 이용한 표면 분석

    IV 원자 현미경 (AFM)
    1. 머 리 말
    2. STM(Scanning Tunneling Microscope):최초의 원자현미경
    3. AFM(Atomic Force Microscope):가장 보편적인 원자현미경
    4. LFM(Lateral Force Microscope): 표면의 마찰력을 재는 원자현미경
    5. FMM(Force Modulation Microscope):시료의 경도(硬度)를재는 원자현미경
    6. MFM(Magnetic Force Microscope) : 자기력을 재는 원자현미경
    7. EFM(Electrostatic Force Microscope):시료의 전기적 특성을 재는 원자현미경
    8. SCM(Scanning Capacitance Microscope):capacitance를 재는 원자현미경
    9. 맺는말

    본문내용

    I. AES
    1. AES/SAM의 원리
    AES/SAM(Auger Electron Spectroscopy : 오제이 전자 현미경/Scanning Auger Microscopy : 주사형 오제이 전자 현미경)은 수 백 Angstrom 크기로 집속된 전자 빔을 재료의 표면에 입사시켜 방출되는 Auger 전자의 에너지를 측정하여 재료 표면을 구성하고 있는 원소의 종류 및 양을 분석해내는 표면 분석 장비이다. 재료의 표면에 입사된 전자는 재료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들을 이온화 및 여기시키면서 에너지를 잃고 멈추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형성되는 excitation volume은 직경 1-2㎛에 달하게 되며 그 안에서는 Auger 전자를 포함한 2차 전자 및 X-ray가 발생하게 된다. 투과 거리가 긴 X-ray의 경우, 표면 이하 깊은 곳에서 발생해도 초기의 에너지를 잃지 않고 표면 밖으로 나올 수 있지만 3000eV 이하의 에너지를 갖는 대부분의 Auger 전자를 비롯한 전자의 경우는 약 10 단 원자층 이하의 투과거리때문에 표면 가까이서 발생하는 것만 초기의 에너지를 보유한 채 표면 밖으로 나올 수 있게 된다. 바로 이러한 특성이 AES/SAM의 표면 선택성(surface selectivity)이라 할 수 있다.
    Auger 전자의 생성 원리는 전자빔이나 X-ray를 이용, 원자의 하부각 전자를 쳐내면 hole이 생성되고 이 hole은 보다 상부각에 위치한 전자가 내려오면서 채워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야기되는 binding 에너지의 차이는 X-ray로 방출되거나 아니면 다른 전자를 방출함으로써 해소되게 되는데 2KeV 이하의 binding 에너지를 갖는 얕은 전자각에서 발생되는 hole은 Auger 전자의 방출에 의한 전이가 지배적이다. 이러한 Auger 전자의 kinetic 에너지는 전이(transition)에 관계하는 전자각의 binding 에너지들에 의해 구해진다. 이와 같이 binding 에너지에 의해 결정되는 Auger 전자의 에너지는 원소마다 고유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재료의 구성 원소를 구분해 낼 수 있게 된다.

    참고자료

    · J.F. van der Veen, Surf. Sci. Rep. 5, 199 (1985)
    · 김현경, 문대원, 이재철, 강희재, 한국진공학회지, 인쇄 중(1998)
    · J.C.Lee, C.S.Chung, H.J.Kang, Y.P.Kim, H.J.Kim, D.W.Moon, J.Vac. Sci. Tech., A13, 1325∼1330(1995).
    · J.S.Lee, S.C.Jeong, H.J.Kang, H.K.Kim, and D.W.Moon, Applied. Surf. Sci. 100/ 101. 97∼101(1996).
    · Young Pil Kim, Si Kyung Choi, Hyun Kyong Kim and Dae Won Moon, 71, 3504∼3506, Appl. Phys. Lett., (1997)
    · S.-J.Kahng, Y.H.Ha, J.-Y.Park, S.Kim, D.W.Moon, Y.Kuk, Phys. Rev. Let., in press (1998)
    · G. Binnig, H. Rohrer, Ch. Gerber, and E. Weibel, Phys. Rev. Lett. 49, 57 (1982).
    · G. Binnig, C. F. Quate, and Ch. Gerber, Phys. Rev. Lett. 56, 930 (1986).
    · For comprehensive reference see "Scanning Probe Microscopy and Spectroscopy" by R. Wiesendang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 T. R. Albrecht, S. Akamine, T. E. Carver, and C. F. Quate, J. Vac. Sci. Technol, A 8, 3386 (1990).
    · G. Meyer and N. M. Amer, Appl. Phys. Lett. 57, 2089 (1990)
    · P. Maivald, H. J. Butt, S. A. C. Gould, C. B. Prater, B. Drake, J. A. Gurley, V. B. Elings, P. K. Hansma, Nanotechnology 2, 103 (1991).
    · D. Rugar, H. J. Mamin, P. Guethner, S. E. Lambert, J. E. Stern, I. McFadyen, and T. Yogi, J. Appl. Phys. 68, 1169 (1990).
    · J. M. R. Weaver and D. W. Abraham, J. Vac. Sci. Technol. B 9, 1559 (1991).
    · J. E. Stern, B. D. Terris, H. J. Mamin, and D. Rugar, Appl. Phys. Lett. 53, 2717 (1988).
    · ]Y. Martin, D. W. Abraham, and H. K. Wickramasinghe, Appl. Phys. Lett., 52, 1103 (1988).
    · E. Betzig, M. Isaacson, and A. Lewis, Appl. Phys. Lett. 51, 2088 (1987).
    · C. C. Williams and H. K. Wickramasinghe, Appl. Phys. Lett. 49, 1587 (1986).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