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윤중, “브라질 군부 권위주의체제 붕과과정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1994.
· 김현창, "브라질의 권력구조와 정치과정의 특성",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1991.
· 문병주, “관료적 권위주의 체제의 해체와 민주화과정 :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사례를 중심
· 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0.
· 민준기, “정치발전의이해-민주화의물결”, 「법문사」, 1993.
· 박보윤,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민주화 이행과정 비교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교학과,
· 2007.
· 박은미, “관료적 권위주의의 위기징후들에 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1984.
· 심명순, “관료적 권위주의체제의 형성과 전개”, 「고시계」 31집8호, 1986.
· 양동훈, “군부와 민주화 :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비교분석”, 라틴아메리카연구3, 한국라틴아메
· 리카학회, 1990.
· 오삼교, “브라질 민주화의 전개와 과제”, 기억과전망 제6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4.
· 이극찬, “정치학”, 「법문사」, 2010.
· 이영조, “관료적 권위주의 체제하에서의 국가자율성의 한계”, 「한국정치학회보」 26집2호, 1992.
· 이영조, “관료적 권위주의 체제하에서의 국가자율성의 한계-군정기 브라질의 농업 개혁정책
· 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26권 2호, 1993.
· 임두빈, “리더십의 변화와 브라질의 부상”, 이베로아메리카 제14권 2호, 부산외국어대학교
· 중남미지역원, 2012.
· 장성호, “위기의 제3세계 정치론”, 「학문사」, 2003.
· 전기원, “시민사회, 시민문화 그리고 합의민주주의”, 「21세기정치학회보」 7권2호, 1997.
· 정진영, “브라질의 민주화와 개혁”, 「라틴아메리카연구」 8권, 1995.
· 정진영, “브라질의 정치제도와 정치적 불안정”, 「라틴아메리카연구」 10권1호, 1997.
· 조이환, “브라질 민주화 시대연구, 1930-1964”, 「포르투칼-브라질연구」 제1권 제1호, 2004.
· 최영수, “브라질 과두정치 체제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13권 4호 통권51호, 2009.
· 최진태, "브라질 룰라정부의 집권과 개혁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2011.
· 최충민, “한국 정당의 제도화 수준에 관한 비교 연구”, 「학위논문(박사)」, 2008.
· 최항순, “발전행정론”, 「신원문화사」, 2006
· 한상진, “제 3세계정치체제와 관료적 권위주의”, 「한울」, 1984.
· Guillermo O' Donnell, “Modernization and Bureaucratic-Authoritarianism”,
· 「Duke University Press-The Hispanic American Historical Review Vol.55 No.3」, 1975.
· Samuel. P. Huntington지음 강문구, 이재영옮김, “제 3의 물결”, 「인간사랑」,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