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미국민주주의재단을 통해 본 신보수주의와 인권외교

"미국민주주의재단을 통해 본 신보수주의와 인권외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7.01.07 최종저작일 2016.10
8P 미리보기
미국민주주의재단을 통해 본 신보수주의와 인권외교
  • 미리보기

    목차

    Ⅰ. 미국민주주의재단으로의 계보
    Ⅱ. 미국민주주의재단의 활동
    Ⅲ. 결론

    본문내용

    이 글은 미국민주주의재단(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을 다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그 구성원의 사상적 기반인 신보수주의(neoconservatism)와 미국 국내 및 국제정치에서 활용되고 있는 인권외교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국 민주주의재단(NED을 통해 본 국제민주화운동과 상징권력」, 「Political Warfare Old and New: The State and Private Groups in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등 각종 논문 및 자료들을 참고였다.

    Ⅰ. 미국민주주의재단으로의 계보
    미국민주주의재단은 1983년 미국의 레이건 정부에 의해 설립되었지만, 이전부터 존재해온 미국 국내 정치 및 외교 정책의 맥락 속에서 형성되었으며, 이 때문에 종래의 민주주의 운동의 유산을 상당부분 상속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미국민주주의재단이 탄생하기까지의 민주주의 및 인권운동의 계보를 살펴보는 것은 미국민주주의재단에 대한 이해와 그 구성원의 사상적 기반인 신보수주의, 그리고 그들이 활용하고 있는 인권외교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에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민주주의 및 인권운동은 1950년대에 시작된 국제적 반공운동으로부터 기원하였다고 할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의 대립으로 형성된 냉전체제는 ‘문화적 자유를 위한 위원회(Congress for Cultural Freedom)’로 대표되는 학문적 반공봉쇄정책을 고안하였다. 1995년 밀란에서 개최된 국제학술대회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문화적 자유를 위한 위원회는 “레이몽 아롱(Raymond Aron), 다니엘 벨(Daniel Bell), 세이무어 마틴 립셋(Seymour Martin Lipset), 에드워드 쉴즈(Edward Shils), 프리드리히 하이에크(Friedrich Hayek) 등 국제적 명성을 누리는 학자들”을 초청하여 진보와 보수를 막론한 자유민주주의의 국제화 및 반공주의를 모색하였다.

    참고자료

    · 김성현, 「미국 민주주의재단(NED)을 통해 본 국제민주화운동과 상징권력」, 『시민사회와 NGO』 Vol.4 No.1,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06.
    · Robert Pee, 「Political Warfare Old and New: The State and Private Groups in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49th Parallel』 Vol.22, UNIVERSITY OF BIRMINGHAM, 2008.
    · 김성현, 위의 논문, 217p.
    · 니콜라 기요(Nicholas Guilhot), 『민주주의를 만드는 사람들(The Democracy Makers: Human Rights and International Order)』, 한울, 김성현 옮김, 2014, 86p에서 재인용.
    · Yves Dezalay and Bryant Garth, 「Law, Lawyers, and Empire: From the Foreign Policy Establishment to Technical Legal Hegemony」, 『The Cambridge History of American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0p.
    · Robert Pee, op. cit., 25p.
    · 프랜시스 스토너 손더스(Francis Stonor Saunders), 『문화적 냉전: CIA와 지식인들(WHO PAID THE PIPER: The CIA and the Cultural Cold War)』, 그린비, 유광태‧임채원 옮김, 2016, 648p
    · Howard Tolley, Jr.,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f Jurists: Global Advocates for Human Right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4, 29p.
    ·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Statement of Principles and Objectives”, 1984.
    · Michel Chossudovsky, 「The Protest Movement in Egypt: "Dictators" do not Dictate, They Obey Orders」, 『Global Research』, 2011.01.29.
    · 박태견, 「미 정부, NGO 통해 탈북자에 자금지원 - “미국 NED, 북한 체제 뒤흔들 의도도 있어”」, 『프레시안』, 2002.07.22.
    · 최형규, 「미얀마 민주화 시위 뒤엔 미국이…」, 『중앙일보』, 2007.10.22.
    · 김재천, 『CIA 블랙박스』, 플래닛미디어, 2011, 200p.
    · 김한규, 「美, “北, 가장 억압적 독재국가” 맹비난」, 『프레시안』, 2005.03.29.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