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사례연구, 간호진단 Schizophrenia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16.12.16
- 최종 저작일
- 2015.09
- 2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A+ 받은 자료입니다! 교수님 컨펌 후 수정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정신분열병의 양상
3. 소인
4. 정신분열병의 유형과 기타 정신병적 장애
5. 간호과정
6. 치료 및 예방
Ⅲ. 본론
1. 간호사정
2. 사례 개입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ⅰ. 연구의 필요성
조현병은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흔한 병이며 그 어떤 병보다 가정과 사회에 부담을 주는 병이다. 우리나라 인구의 1% 정도, 즉 40 만 명 이상이 일생을 사는 동안 적어도 한번은 조현병을 앓을 수 있다고 하며, 현재 약 4 만 명의 환자들이 있다고 추산된다. 이들 한명 당 적어도 4명의 가족이 있다고 생각해보았을 때 적어도 2백만 명 이상이 조현병으로 인해 막대한 정신적, 신체적,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된다는 결론이 나오게 되는 셈이다.(국가건강정보포털, 2010.03.02.)
우리나라에서 의료기관이나 요양시설에 입원(입소)한 정신질환자가 가장 많이 앓는 병은 57.2%로 조현병이다. 두 번째로 많은 알코올중독(21.2%)의 2배가 훌쩍 넘는다. 2010년 보건복지부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 3만2,740명이던 조현병 입원 환자는 2010년 4만2,027명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임소형,2012)
<중 략>
Ⅱ. 문헌고찰
1. 정의
조현병은 뇌의 기질적 이상이 없는 상태에서 인지, 지각, 정동, 의지, 행동과 사회활동 등 인격의 여러 측면에 장애를 초래하는 뇌기능 장애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정신분열병(schizophrenia)라는 용어는 Eugen Bleuler(1908)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정신 phren(mind)이 분열되다 schizo(split)'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정신분열병은 가장 이해하기 어렵고 비극적이며 파괴적인 질병으로서 젊은 성인을 무능력하게 만드는(Ho,Black , Anderson(2003))질병이다. 정신분열병은 비교적 이른 나이에 발병하는데, 발병 후에도 오랫동안 생존하므로 질병으로 인한 고통이 지속되는데 즉 학교와 일, 친구, 결혼, 자녀를 갖는 등의 정상적인 삶을 살아가기가 어려운 질병이다.
다양한 정신기능에 이상을 초래하는 질환으로서 증상뿐만 아니라 경과, 치료반응, 예후도 다양하다. 현재까지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심인성 질환이 아닌 뇌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드러그인포] http://testwww.druginfo.co.kr/
중앙일보 - 최신정신의학(대표저자 연세대 의과대학 정신과 교수 민성길)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 http://health.amc.seoul.kr/health/personal/checkInformation. do?checkno=520
이정숙 외,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2012)
[닥터코리아]http://www.doctorkorea.com/health/index_in.asp?no=1&id=5966&c3_idx=184&c4_idx=506&title=%C1%A4%BD%C5%B0%FA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혈액종양내과 박성규 『CBC 검사에서 혈구수치 이상에 대한 해석과 이해』. 대한내과학회지: 제 78 권 제 5 호. 2010
신현택「임상병리검사의 해설」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https://www.health.kr/drug_info 약학정보원
한국심리학회 정기간행물 4 http://www.koreanpsychology.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