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영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속담 교육 방안-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김민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내용중심 대학예비교육과정 설계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김선정·김성수, 「한국어 속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및 모형제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6.
· 김승호, 「관용어 연구 시론(2)」, 한글학회 부산지회, 1993.
· 김영자,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속담교육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 김윤수, 「중국현대상용속담과 그 교육적 활용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김정숙, 「학문적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0.
· 김정아,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육용 속담 선정에 관한 고찰」, 교육논총 18 한국외국어대학교, 2002.
· 김종택, 「속담의 기능과 의미구조」, 국립국어연구원,1994.
· 문금현, 「관용표현의 형성과 소멸」, 국어학회, 1996.
· 박갑수, 「언어에 관한 속담고」, 연포 이하윤 박사 화갑기념 논문집, 1966.
· 박갑수, 『한국어 교육과 언어문학교육』, 역락, 2013.
· 박광서, 「속담의 국어교육적 활용 실태 및 분류」,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 박영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문화론』, 한림, 2006.
· 서석연, 「속담의 비교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75.
· 심재기, 『국어어휘론』, 집문당, 1982.
· 오만석,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의 현실과 과제: 여섯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1.
· 왕청청,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속담 교육 연구 : 목록 선정과 등급 설정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원수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속담 교육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 이규태, 「속담에 비친 한·미인의 특성」,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이기문, 『속담사전』, 민중서관, 1962.
· 이무응, 「중학교 국어과 속담의 지도 방안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4.
· 이용주, 『속담의 감화성』, 사대학보, 1959.
· 이을환, 『국어학신강』, 개문사, 1979.
· 이을환, 『언어학개설』, 선명문화사, 1971.
· 이해영, 『비교문화적 화용론에 기초한 한국어의 화용 교육』, 이중언어학회, 2002.
· 장윤선,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속담 관련 내용 분석과 효과적인 지도 방안」,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 장지정,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속담 교육 방안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2008.
· 조현용, 「한국어 속담 교육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6.
· 조현용, 「한국어 속담 교육 연구」, 국제한국교육학회, 2007.
· 최경봉, 「국어 관용어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5.
· 최근학, 『속담사전』, 경학사, 1972.
· 최창렬,『우리 속담 연구』, 일지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