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패혈증 (문헌고찰 포함)
- 최초 등록일
- 2016.07.30
- 최종 저작일
- 2016.07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판매자cec*******
19회 판매

소개글
신생아 패혈증 실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내린 간호진단입니다.
간호과정은 없지만, 간호진단을 내리기까지의 과정이 다 있고,
간호진단을 4가지로 내렸기 때문에 시간을 단축하여 과제를 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신생아 패혈증 문헌고찰
2. 시나리오
3. 간호사정(아기, 산모사정, 검사결과;혈액, 소변)
4. 주관적 객관적 자료로 나누기
5. 4가지 간호진단
본문내용
Ⅰ. 신생아 패혈증 문헌고찰
1. 정의
: 생후 1개월(길게는 3개월) 미만의 신생아에서 발열이나 저체온, 빈맥, 빈호흡 등의 이상이 있고 혈액균 배양 검사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 진균 등이 자라는 상태를 말한다.
신생아 패혈증은 발병 시기에 따라 크기 생후 3일(길게는 1주일) 이내에 나타나는 조기 발현 신생아 감염(early-onset neonatal sepsis)과 그 이후에 증상이 발현하는 후기 발현 신생아 감염(late-onset neonatal sepsis)으로 나누어진다.
대개 출생 후 3일 이내에 나타나는 조기 발현 신생아 패혈증(early-onset neonatal sepsis)은 분만 전이나 분만 중에 모체의 위장관계와 비뇨생식기계의 병원체의 직접 접촉으로 인해 감염되어 발생한다. 임신 중 사슬알균 B군 감염, 조기 분만, 24시간 이상 지속된 태반 파열, 태반 조직과 양수의 감염 등이 조기 발현 신생아 패혈증에 걸릴 위험이 높다.
후기 발현 신생아 패혈증(late-onset neonatal sepsis)은 출생 1~3주 후에 나타나며, 일차적으로 병원 내의 균이 감염의 원인이다. 이 경우, 오랫동안 혈관 내 주사를 유지하고 있거나, 병원에서 오래 입원해 있는 경우 발생 위험도가 커진다.
2. 발생빈도
: 조기 발현 신생아 패혈증은 1,000명당 1~4명 정도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정상 만삭아에 비해 1,000g 미만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조기 발현 패혈증의 빈도가 10배 정도 더 높다.
또한 고위험 신생아의 경우 정상 신생아보다 발생빈도가 4배 이상 높고, 남아는 여아보다 2배 이상 높다.
3. 사망률
: 신생아 패혈증의 사망률은 10~40% 이지만 발병시기, 원인균, 재태기간 등의 환아 상태, 신생아 집중치료실의 시설과 관리에 따라 다양하다.
후기 패혈증(출생 1~3주 후)과 면역기능이 저하된 신생아에서는 예후가 나쁘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