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영화의 탄생과 시대별 전개

1950년대 일본영화는 황금기를 맞는다. 산업적인 측면에서 보면 1957년에 영화인구, 즉 1년동안 영화를 감상한 총관객수가 10억을 넘어섰고, 1958년에 최고점에 달하여 11억 2,700만명을 기록한다. 이후 1960년까지 영화인구는 10억을 넘는다. 또한 일본영화의 제작편수도 증가하여 1960년에는 한 해 동안 547편이 개봉되었다. 이러한 국내에서의 산업규모 확대와 더불어, 구로사와 아키라(黒沢明, 1910-1998) 감독의 <라쇼몽(羅生門)>이 1951년 베니스 국제영화제 금사자상을 수상한 이후, 일본영화의 해외진출이 줄 잇는다. 하나의 사건을 둘러싸고 네 명의 관계자가 서로 다른 증언을 하는 영상을 조합하여 새로운 영화문법을 제시한 <라쇼몽>은 1952년 미국의 아카데미 명예상(현재의 외국어 영화상)도 받는다.
1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6.07.27 최종저작일 2016.07
18P 미리보기
일본 영화의 탄생과 시대별 전개
  • 미리보기

    소개

    1950년대 일본영화는 황금기를 맞는다. 산업적인 측면에서 보면 1957년에 영화인구, 즉 1년동안 영화를 감상한 총관객수가 10억을 넘어섰고, 1958년에 최고점에 달하여 11억 2,700만명을 기록한다. 이후 1960년까지 영화인구는 10억을 넘는다. 또한 일본영화의 제작편수도 증가하여 1960년에는 한 해 동안 547편이 개봉되었다. 이러한 국내에서의 산업규모 확대와 더불어, 구로사와 아키라(黒沢明, 1910-1998) 감독의 <라쇼몽(羅生門)>이 1951년 베니스 국제영화제 금사자상을 수상한 이후, 일본영화의 해외진출이 줄 잇는다. 하나의 사건을 둘러싸고 네 명의 관계자가 서로 다른 증언을 하는 영상을 조합하여 새로운 영화문법을 제시한 <라쇼몽>은 1952년 미국의 아카데미 명예상(현재의 외국어 영화상)도 받는다.

    목차

    Ⅰ.일본영화의 시작& 역사적 전개
    1.활동사진의 도래
    2.대중문화로서의 정착
    3.무성영화의 특징과 발전
    4.무성영화 시절의 또 다른 스타, 변사(弁士)
    5. 유성영화의 등장과 변화
    6. 전쟁과 패전 속의 일본영화

    Ⅱ. 전후 영화의 발전과 현황
    1.일본영화의 황금기
    2.스튜디오 시스템과 새로운 물결
    3.영화인구 감소와 스튜디오 시스템의 붕괴
    4.부가시장의 형성과 다양한 제작주체의 등장
    5.21세기 일본영화의 현 주소

    본문내용

    Ⅰ.일본영화의 시작& 역사적 전개
    1. 활동사진의 도래
    일반적으로 영화는 1895년 12월 28일 프랑스의 뤼미에르(Lumière) 형제가 파리의 한 카페의 지하에서 손님들을 상대로 그들이 찍은 필름을 상영한 때부터 시작하였다고 이야기된다. 뤼미에르 형제는 촬영기계이면서 상영기계이기도 한 ‘시네마토그라프(Cinematograph)’를 사용하여, 공장에서 퇴근하는 노동자, 열차의 도착, 아기에게 밥을 먹이는 부부 등 당시의 일상을 담아내었다. 사실 뤼미에르 형제 이전에 영화기계를 발명한 이가 있었다. 바로 발명왕으로 알려진 토머스 에디슨(Thomas Edison)으로, 그는 ‘키네토스코프(Kinetoscope)’라는 이름의 기계를 만들어 뤼미에르 형제보다 2년 앞선 1893년에 대중에게 선을 보였다. 시네마토그라프가 스크린에 영상을 비추어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관람할 수 있었던 반면에, 키네토스코프는 좁은 구멍을 통하여 필름을 보기 때문에 혼자만이 즐길 수 있는 형태였다. 키네토스코프는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시네마토그라프에 밀려 사라지게 되고, 에디슨의 ‘실패한 발명품’이 된다. 하지만 VDO 테이프부터 DVD, 컴퓨터, 스마트폰에 이르기까지 영화를 혼자 볼 수 있게 되는 미래를 예측했다고 재평가되기도 한다.
    초기에는 영화라는 명칭이 존재하지 않았기에, 움직이는 사진이라는 의미로 ‘활동사진(活動写真)’, 즉 영어의 ‘motion picture’와도 뜻이 통하는 용어가 쓰였다. 활동사진을 찍고 상영하는 기계인 키네토스코프와 시네마토그라프는 각각 1896년과 1897년 일본에 수입되어 공개된다. 일본에서 최초로 촬영이 이루어진 것은 1897년에서 1898년 사이로, 뤼미에르 회사의 촬영기사 두 명에 의해서이다. 그들은 일본에 와서 프랑스에서 상영되었던 최초의 영상처럼, 나고야역에서의 열차의 도착, 교토 기온(祇園)의 부채춤, 도쿄 신바시(新橋)의 거리 풍경, 가부키 배우의 연기 등 일상적인 모습을 영상에 담았다. 뤼미에르 영화사의 촬영기사들은 일본뿐 아니라 신기한 풍물을 담아내기 위하여 전 세계를 누볐지만, 결국 영화에 이야기를 담아내는 쪽으로 발전을 하지 못해 뤼미에르 영화사는 없어지고 만다.

    참고자료

    · 강태웅, 2010, 「일본 영화 속의 '반전 평화' 내러티브」, 장인성 편 『전후일본의 보수와 표상』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강태웅, 2012, 「동일본대지진 이후의 일본영화」, 최관 외 『3.11 동일본대지진과 일본』, 도서출판 문.
    · 박진한 외, 2013, 『가미카제 특공대에서 우주전함 야마토까지』 소명출판.
    · 요모타 이누히코(박전열 역), 2001, 『일본영화의 이해』 현암사.
    · 요모타 이누히코(강태웅 역), 2011, 『일본영화의 래디컬한 의지』 소명출판.
    · 하스미 시게히코(윤용순 역), 2001, 『감독 오즈 야스지로』 한나래.
    · 하시모토 시노부(강태웅 역), 2012, 『복안의 영상-나와 구로사와 아키라』 소화.
    · 吉田喜重 編, 1995, 『映画伝来』岩波書店.
    · 사토오 다다오(유현목 역), 1993, 『일본영화 이야기』, 다보문화사.
    · 아서 놀레티 외(편장완 역), 2001, 『일본영화 다시 보기』, 시공사.
    · 요모타 이누히코(박전열 역), 2001, 『일본 영화의 이해』, 현암사.
    · ピーター・B. ハーイ, 1995, 『帝国の銀幕―十五年戦争と日本映画』, 名古屋大学出版会.
    · Noel Burch, 1979, To the Distant Observer : Form and Meaning in the Japanese Cinema, Berkeley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최신 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믿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각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 덕분에 복잡한 개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에게도 강력히 추천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