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정복자들] 박영규 지음
- 최초 등록일
- 2016.07.08
- 최종 저작일
- 2016.07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생각의 정복자들] 박영규 지음에 관해 조사하는 과제 입니다.
[생각의 정복자들] 박영규 지음에 관해 작성 했습니다.
[생각의 정복자들] 박영규 지음에 대해 궁금하신 분이 구매해 주시거나,
[생각의 정복자들] 박영규 지음에 관한 리포트 작성이 필요하신 분이 구매해 주세요.
목차
ⅰ) 현대철학의 특징
ⅱ) 베르그송 “ 생명이 곧 신이다 ”
ⅲ) 후설 “ 사태, 그 자체로 돌아가라 ”
ⅳ) 듀이 “ 철학은 사회적 투쟁을 처리하는 도구다”
ⅴ) 비트겐슈타인 “ 모든 철학은 언어의 비판이다 ”
ⅵ) 야스퍼스 “ 이성과 실존은 불가분의 관계다 ”
ⅶ) 하이데거 “ 언어는 존재의 집이다 ”
ⅷ) 사르트르 “ 인간의 본질은 자유다”
본문내용
ⅰ) 현대철학의 특징
- 과학적 사고에 바탕한 현실적인 문제에 주목
⇒ 객관으로의 전환, 존재로의 전환, 실존으로의 전환 등의 세 가지 양상
→ 실용주의(퍼스~제임스~듀이), 삶의 철학(베르그송~블롱델, 20세기 초반), 현상학 (후설~셸러, 20세기 전반의 학문에 영향), 기호논리학(무어, 러셀~비트겐슈타인․ 카르납․ 화이트헤드, 비트겐슈타인-철학의 목적을 언어비판이라고 정의하면서 현 대철학의 극점인 언어철학을 태동), 실존철학( 야스퍼스․ 하이데거~사르트르 , 인간 실존의 문제를 현대철학의 중심으로 끌어들임)
ⅱ) 베르그송 “ 생명이 곧 신이다 ”
○ 『창조적 진화』 ( 생명이 모든 현상의 근원 )
- 스펜서의 기계론 비판 : 기계론에는 지성은 있으나 삶이 없기 때문
- 관념론 비판 : 논리는 있으나 생명은 없고, 인식은 있으나 존재가 없기 때문
⇒ 삶은 앎에 앞서고 의식은 인식에 앞선다.
- 존재의 본질 : 생명, 사고 : 생명의 현상, 지성 : 생명의 부대현상
⇒ 철학의 목적 : 생명에 도달하는 것, 인간의 의식에 도달하는 것
- 의식 : 생명의 힘을 통해 창조적으로 얻어지는 것, 의식은 뇌와 운명을 함께하지만, 뇌의 작용만으로 의식을 만들어 내는 것은 아님.
⇒ 의식 : 뇌의 운동 + 생명의 창조적 작용
- 지성 : 물질과 공간에 대한 개념과 법칙에 대한 관념,
이러한 관념은 죽은 의식에 불과
⇒ 지성에 의존하고 있는 모든 학문과 과학은 결코 세계의 본질을 설명할 수 없음
( 지성에 의존한 과학은 정지된 힘은 설명 가능, 움직이는 힘은 증명 불가능 )
- 지성에 의존하지 않고 어떻게 생명의 흐름과 본질을 파악하는가?
: 살아있는 것은 의식O → 의식은 자유롭게 움직임 → 의식은 필연적으로 자유의지를 생성 → 의식이 스스로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앎 → 의식은 처음부터 본질에 다가갈 수 있는 힘이 존재 ⇒ 힘 = 직관( 생명의 원초적인 능력 )
- 의식적 존재가 자유롭다 = 항상 변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