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이이의 시조와 후대적 수용(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를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16.05.04
- 최종 저작일
- 2013.05
- 2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판매자great**** (본인인증회원)
8회 판매

목차
Ⅰ. 서론
Ⅱ. 퇴계 이황의 사상과 작품
1. 이황의 생애
2. 이황의 사상과 문학관
3. 이황의 작품세계
Ⅲ. 율곡이이의 사상과 작품
1. 율곡 이이의 생애
2. 율곡이이의 사상과 문학관
3. 이이의 작품세계
Ⅳ.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의 비교
1. 언어적 특징
2. 구조적 특징
3. 함축사상
Ⅴ. 후대적 수용
1. 서울국악관현악단 제23회 정기연주회 <신가악과 협연의 밤>
2. 해설과 함께 듣는 ‘옛 선비의 노래’
3. 「메아리 시조」
4. 2011 우리가락 우리마당
5. 시조창 <청산은 어찌하여>
6. 2011 농민신문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Ⅵ.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이황과 이이 두 작가는 비록 한 세대의 차이를 두고 있기는 하지만, 이후 사회에 학문적으로나 사상적으로나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당대에는 물론이고 지금도 그리고 후대에도 둘은 성리학의 대가로 널리 이름을 전할 것이다. 평생을 사상과 학문을 탐구하는 데 힘썼고 아울러 나름대로의 자신들의 사상을 입각해 작품에까지 드러내었다. 따라서 퇴계와 율곡이 남긴 작품들을 감상하고 이해하고 분석해 봄으로써 그들의 생각과 인식, 사상을 파악하는 것은 결코 헛된 일이 아니라 가치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인생에 있어 진리와 도는 아직도 명확하게 드러나고 정의되지 않아 앞으로도 인간들이 살아가며 풀어나가야 할 숙제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숙제를 풀 실마리를 평생을 학문하고 수양하며 진리를 터득하는 데 애쓴 두 작가의 작품을 통해서도 찾아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또 그들이 남긴 작품들은 두 작가가 오늘날까지 이러한 위상을 가지게 된 토대가 무엇이었는지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그렇다면 본론에서는 이황과 이이의 작품을 분석하기 전에 먼저 그들의 생애와 사상에 대해 알아보고, 구체적으로 작품을 분석해 볼 것이다. 작품은 이황의 대표적 작품인 <도산십이곡>, 이이의 대표적 작품인 <고산구곡가>를 중심으로 분석해 볼 것이며, 나아가 두 작품을 비교해 봄으로써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 생각해 볼 것이다. 또 두 작가의 사상 또는 작품이 후대에는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도 살펴보겠다.
Ⅱ. 퇴계 이황의 사상과 작품
1. 이황의 생애
이황이 살았던 16세기는 성리학적 사유를 지닌 사림이 지방과 중앙에 형성되면서 지식인의 존재와 학문의 가치가 새롭게 정립된 시기였다. 사림은 개혁적 성향을 지녔음에도 중앙정계에 자리 잡자마자 훈구세력 못지않게 부패해졌는데, 여기서 현실에 참여해야 하는 선비면서도 부패한 현실정치와는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하고자 하는 도덕주의적 성향을 지닌 일군의 인물들 중 그 단초를 연 인물이 이황이다. 이황은 산수에서 도의를 기르며 심성을 양성하는 학자의 길이 현달한 정치가의 삶 못지않은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