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벤조산이나 살리실산의 정제(재결정)(결과)
- 최초 등록일
- 2016.04.10
- 최종 저작일
- 2015.03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lonol******* (본인인증회원)
6회 판매

목차
1. 날짜
2. 실험제목
3. 실험목적
4. 실험결과
5. 토의 및 고찰
본문내용
⇒분자들은 적외선을 흡수하면 더 높은 에너지 준위로 들뜬다. 다른 흡수 과정처럼 적외선 흡수도 양자화된 과정이다. 분자는 적외선 중에서 오직 몇 개의 선택된 주파수만을 흡수한다. 결합이 진동하는 주파수와 정확하게 맞는 범위의 적외선 파장이 이 분자에 쪼여지면 흡수되는데, 진동의 세기가 강해진다. 하지만 분자의 모든 결합이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쌍극자모멘트를 가지는 분자만이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다. 그래서 대칭적인 분자인 나 같은 분자는 적외선을 흡수하지 않는다. 그래서 완전히 대칭적이거나 거의 대칭적인 분자 결합은 IR 스펙트럼에서 나타나지 않게 된다.
IR 스펙트럼->어떠한 분자인가->어떠한 작용기인가
2.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해석
* IR 스펙트럼은 대단히 복잡하기 때문에 특성적인 몇 가지 흡수 피크를 이용하여 미지 화합 물의 구조를 파악.
* 물질의 결합상태 및 원자의 질량을 이용하여 파수의 계산이 가능하지만 주변 환경과의 상호 작용으로 파수가 변할 수 있음.
* IR 스펙트럼의 결과만으로 화합물의 구조를 확인할 수 없음.
예) 1720 근처의 강한 흡수 피이크는 카르보닐기()를 의미하지만 알데히므, 케톤, 유기산중 어느 것인지 확인 않됨.
대부분의 작용기는 독특한 IR 흡수띠를 가짐-> 특정 작용기가 어디서 흡수하는지를 앎으로써 IR 스펙트럼으로부터 유용한 구조적인 정보를 얻음
용어: 지문 영역(fingerprint region)-독특한 지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어떤 면에서 이러한 복잡성은 유용하다.(1500〜400)
<중략>
1) 지방족 화합물
- 알칸화합물 : -C-H, 신축(3000~2850), 굽힘(2450)
- 알켄화합물 : =C-H, 신축(3100~3000), 굽힘(1000~650)
-C=C, 1680~1600
- 알킨화합물 : ≡C-H : 3300
-C≡C- : 2100
참고 자료
http://blog.naver.com/hatko/12004191401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21482&cid=42411&categoryId=4241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9205&cid=40942&categoryId=32238
http://joonyoungsun.tistory.com/288
https://www.cheric.org/files/education/cyberlecture/e200403/e200403-1001.pdf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2280&cid=40942&categoryId=3224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13778&cid=50313&categoryId=50313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69746&cid=42388&categoryId=42388
http://mslab.polymer.pusan.ac.kr/polymer/sub5/sub5_4.html
http://blog.naver.com/pow1987/88310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