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Cerebral infarction, 통증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간호학과 케이스스터디
- 최초 등록일
- 2016.01.29
- 최종 저작일
- 2015.07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판매자j2s****
2회 판매

소개글
뇌경색과 함께 어깨 통증 관련된 간호과정입니다.
날짜별로 들어간 약물과 약물의 효능까지 자세하게 적은 간호과정입니다.
도움 많이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진단검사
1) LAB검사
2) 검사결과
3) Vital sign
3. 약물
4. 간호사정
5. 간호과정 - 통증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정의
뇌조직은 평상시에도 많은 양의 혈류를 공급받고 있다. 그런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뇌혈관에 폐색이 발생하여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뇌 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뇌혈류 감소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뇌조직의 괴사가 시작된다. 후에 뇌 조직이 괴사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 이를 뇌경색이라고 한다.
2) 종류와 원인
발생하는 기전에 따라 대혈관 질환에 의한 뇌경색, 심장 색전증에 의한 뇌경색 또는 심인성 뇌경색, 소혈관 질환 또는 열공 뇌경색, 기타 드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뇌경색으로 분류한다. 지속 시간이 짧아 발생 24시간 이내에 증상이 완전하게 회복되는 경우를 일과성 허혈발작이라고 한다.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으로 인해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죽상경화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뇌혈류가 차단되는 경우이다. 그 외에 심장부정맥, 심부전 및 심근경색의 후유증 등으로 인하여 심장에서 혈전이 생성되고, 이 혈전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다가 뇌혈관을 막아 뇌졸중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드물게는 모야모야병, 호모시스테인혈증 등 극히 드물게 발생하는 질병에 의해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3) 임상증상
증상으로는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편측마비, 안면마비, 감각이상, 구음장애 등이 흔히 발생한다. 폐색된 혈관이 뇌조직의 어느 부위에 혈류를 공급하고 있었는지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다. 운동기능 및 감각기능의 부전 이외에도 실인증, 실어증이 첫 증상으로 나타나거나 갑작스런 시야장애 및 의식 소실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날 수 있다. 다양한 증상이 모두 발생할 수도 있지만 일부의 증상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질환과 동반되는 편측마비, 안면마비, 감각이상 등은 대개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전조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지만 증상이 일시적으로 발생하였다가 좋아지는 방식으로 나타나므로 알아차리기 힘든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조 증상이 동반되는 빈도도 높지 않다.
참고 자료
국제간호진단협회, 2013,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정담미디어
송경애 외, 2013, 최신 기본간호학 (상), 수문사
송경애 외, 2013,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조경숙 외, 2013,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조경숙 외, 2013,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대한민국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부광약품주식회사 http://www.bukwang.co.kr/
네이버 약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