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봉수, 「한국 전통 도덕 교육론」, 한국학술정보, 2006
· 권대봉, 「평생교육학 다섯마당」, 서울: 학지사. 2002.
· 곽봉신, 「초등학교 학부모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과 참여요구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2000.
· 권순학, 「우리나라 청소년 효 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효학연구 제3호, 한국 효 학회 2008.
· 교육인적자원부, 평생교육진흥원 , 「평생교육백서」, 평생교육진흥원, 2008,
· 구창모, 신선미 「청소년 수련거리 실태조사 및 개발방향 연구」, 청소년 수련거리 실태조사 및 개발방향 연구, 한국청소년연구원 1991.
· 금장태, 「유학사상과 유교문화」, 동양문화총서, 전통문화연구회, 1995
· 김경호,「예절교육을 통한 도덕성의 발달에 관한 연구: 시각장애 중학생의 수업을 중심으로 」,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 김기헌, 「미래세대 리포트 아동 청소년기 핵심 역량-개념과 적용사례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 p03~08, 2008.
· 김광웅, 「아동학의 세계화」, 한국아동학회 소식지, 제7호, 1. 1995.
· 김명래, 「이덕무의 아동훈육방법에 관한 연구-사소절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3
· 김상봉, 「윤리적 인간의 탄생」한국철학회 춘게학술대회, 철학의 눈으로 오늘의 한국을 본 다 2005.
· 김순욱,「사소절을 통한 조선시대 가족윤리 고찰」,대한가정학회지, 2000.
· 김옥희, 「朝鮮朝社會의 女四書를 중심으로 女性敎訓書의 內容分析에 관한 硏究」,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 김인경, 「청소년 문화의 이해」, 인천광역시 교육연수원 2003.
· 김정애, 「학교 개방을 통한 평생교육 활성화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99.
· 김종관 역 「士小節」한국교원대학교, 1985.
· 김신일, 「교육사회학」, 서울 : 교육과학사, 1985.
· 김향은, 「전통 아동교육서에 나타난 아동교육 원리 」兒童學會誌, 1995.
· 남윤정, 「청소년 평생교육 사례연구: 청소년교육문화기관 라온센터를 중심으로」, 영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도민재, 「전통사회 소학 교육과 청소년 예절교육의 방향」,한국유교학회, 2008.
· 류점숙, 「士小節에 나타난 兒童訓育法考察」, 대한가정학회지 25 (4), 1987.
· 류칠선, 「사소절에 나타난 아동의 예절교육론 (士小節)」, 영유아교육연구, 2000.
· 박선형 「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이론적 모델 탐색」교육행정학연구, 제22권 제1호, 2004
· 박분례, 「부모참여 및 교육을 통한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증진 효과」,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 박정환, 「유치원과 초등 1년 및 2년 아동의 기본 생활 습관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박옥희, 「유아의 발달수준과 기본생활습관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백혜리, 「조선시대 성리학, 실학, 동학의 아동관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 류점숙, 「조선시대의 아동교육관 연구-아동교재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4.
· 손직수, 「조선시대 여성교육연구」, 서울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2.
· 박선형 「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이론적 모델 탐색」교육행정학연구, 제22권 제1호, 2004.
· 박옥희, 「유아의 발달수준과 기분생활습관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00.
· 박병기, 「초등 도덕교육론의 텍스트로서의 소학 읽기」,「초등도덕교육」창간호, 1996.
· 박분례, 「부모참여 및 교육을 통한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증진 효과」,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 박정환, 「유치원과 초등 1년 및 2년 아동의 기본 생활 습관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변종임, 권인탁, 김남선, 양병찬, 양흥권, 체재은, 「지역발전을 위한 평생학습도시 운영실태 분석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2005.
· 박병기, 「초등 도덕교육론의 텍스트로서의 소학 읽기」,「초등도덕교육」창간호, 1996.
· 박분례, 「부모참여 및 교육을 통한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증진 효과」,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 박영태 · 하수연 · 임경순, 「조선시대 童蒙先習과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 비교 연구」, 「석당논촌」제44 집, 2009.
· 박옥희, 「유아의 발달수준과 기본생활습관과문의 관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0.
· 박정환, 「유치원과 초등 1년 및 2년 아동의 기본 생활 습관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박재문 ,「이덕무의 사소절(士小節)에 관한 연구: 교육학적 해석」, 도덕교육연구 제16권 1호, 2004, pp. 159-180.
· 박호병 , 「이덕무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한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백혜리, 「조선시대 성리학, 실학, 동학의 아동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 서수자,「청소년 예절교육 방향 정립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 1997
· 서은주, 「성격 및 학습에 대한 아정리덕무의 아동 훈육법」,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9.
· 손직수, 「조선시대 여성교육연구」, 서울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2.
· 심정렬,「李德懋의 士小節 童規 篇을 통한 敎育方法 硏究」, 2008.
· 양방주, 「도덕과 내용구성에서의 전통윤리」, 한국도덕과교육학회 2001
· 이명순, 「사소절에 대한 일고찰 : 그 교육적 의미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이애선, 「이덕무의 교육론과 현대도덕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79.
· 이종철, 「평생교육에서 전통문화 교육현황 및 정책제안」, 문화연구, 한국문화학회, 2003.
· 우남희,「한국 전통교육속에 나타난 정서지능」1998
· 우영희, 「조선시대교훈서를 통해 본 자녀양육-「동몽선습」「격몽요결」「사소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 우영효, 「이덕무의 사소절에 나타난 인성교육 분석」, 선린대학교 유아교육과, 2006.
· 유태맹 ,「가정교육 전공자의 지역사회에서의 역할과 기여」 중앙대학교 한국교육 문제 연구소학술세미나 발표자료, 2003.
· 오석종, 「소학의 덕 교육론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유봉호, 「李德懋의 敎育思想과 兒童敎育論 」,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1975.
· 이덕무, 사소절
· 이애선, 「李德懋의 敎育論과 現代道德敎育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1980.
· 이을환, 「국어의 일반의미론적 연구」, 숙명여대출판부, 1980.
· 이명순, 「士小節」에 나타난 李德懋의 敎育思想 硏究 : 人性敎育과 關聯하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 1996.
· 이정표, 정태화, 주인중, 고혜원, 김상진, 손주영, 「평생직업교육훈련 종합대책 I」, 한국 직업능력개발원 기본연구, 2000.
· 이종철, 「평생교육에서 전통문화 교육현황 및 정책제안」, 문화연구, 한국문화학회, 2003.
· 이혜상, 「일부 학교에서 발생하는 손실에 관한 연구」,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제8권 제3호, 2002.
· 임희진, 유제민, 「청소년 진로상황의 불확실성에 대한 보호 요인 및 위험요인의 탐색」,연구보고서 요약집,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7.
· 전상수,「전통예절에 대한 청소년의 의식구조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地域開發大學院 석사학위 논문, 1998
· 정옥분, 「이제는 우리의 것을 찾을 때이다!」, 한국아동학회 소식지, 제5호, 1. 1994.
· 정인철,「이덕무의 지.덕.체.아동교육관에 관한 일연구 : 사소절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조남호, 「예는 반드시 지켜져야 하는가」, 웅진출판주식회사 1998
· 조혜정, 「탈식민지시대 지식인의 글읽기, 삶읽기(1),(2)」, 서울 : 또 하나의 문화, 1992, 1994.
· 조병권, 「이덕무의 예절교육사상에 대한 연구 : 사소절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 청소년교육위원회, 「청소년백서」, 2007
· 최영미,「아버지의 유아기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 및 역할에 관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최태삼, 「이덕무의 사소절에 나타난 아동 생활지도 원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한국청소년문화학회「한국의 청소년문화」 1-3집, 2001, 2002.
· 한기언, 「사상사적 입장에서 본 한국교육 사상사적 입장에서 본 한국교육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논문집, 1973.
· 함병수, 「유네스코 청년원」, 1996정의 ,청소년기본법 2005.
· 宋錫準, 「유교의 사회관」, 「현대인의 유교읽기」,아세아문화사, 1999.
· 池敎憲, 「傳統倫理의 規範性과 狀況性 -儒敎의 五倫을 中心으로-」,「淸州敎大論集」,동양사상(유교,요가), 1983.
· 趙俊河, 「傳統倫理의 再照明」,「東洋哲學硏究 제3집」, 동양철학연구회, 1982
· 李學澈,「오륜사상의교육학적이해와실천방안」,人文科學, 1979.
· 崔瑛甲, 「先進儒家의 道德哲學에 관한 연구 -孔子와 孟子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