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귀년(2004). 원예치료가 정신지체장애인의 직업적응능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논문.
· 강정순(1998). 원예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곽병화, 서정근, 곽혜란(1999). 원예치료효능과 그 특수성 구명의 필요성, 고려대 원예학과 단국대 관상원예학과 서울여대 원예학과.
· 고언희(1999). 원예치료가 정신 및 지체 장애인의 재활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권영희(2006). 원예치료가 정신지체장애인의 심리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금은정(2002). 원예치료가 성인 정신지체 장애인의 사회성숙도 및 작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성광(2002). 정신지체장애인의 직업적응훈련이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직업재활학 전공 석사학위청구논문.
· 김소영(2007).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이 직업인성에 미치는 효과분석 : 정신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은영(1996). 정신지체인의 직업흥미와 취업직종, 단국대학교.
· 김재현(2001). 정신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집단원예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립대 사회복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지현(2007). 사회적 기술을 적용한 원예치료가 성인여성 정신지체인의 대인관계와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홍열(2007). 원예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농업생명과학연구, 제41권, 제4호, 13-18.
· 김홍열, 김루비 (2003). 시설보호여성의 자아 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원예치료의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생명자원학부 화훼원예학전공
· 남명희(2006). 화훼 디자인을 적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 자존감과 및 자기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꽃예술학회.
· 남오철(1999). 정신지체장애인의 직업재활 모델에 관한 연구: 은향 원예치료 훈련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노기보(2000). 정신지체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일장신대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미종(1996). 정신지체인의 직업재활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 박석근(2007). 원예치료와 원예치료사, 상담과 선교 - 2007년 겨울, 47-65.
· 박지영(2006). 정신지체인에 대한 원예치료적 모델 제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문미영(2009). 정신적 장애인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분석,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문상중(2005).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경도 정신지체아의 선택적 주의집중력과 지속행동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정근, 이상미(2004). 원예 치료 과정의 적응과 실제, 천언: 단국대학교 출판부.
· 서정희, 전소연, 최경혜, 김현주, 허북구, 박윤점(2007). 정신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내용 분석, 생명자원과학연구, 제29집, 11-18.
· 손기철(1997). 학술총설-원예치료에 관하여, 원예학세계 제2권 제3호-1997년 9월, 16-22.
· 손기철(1999). 원예치료,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제6권, 제1호, 25-44.
· 손기철(2004). 실내식물이 사람을 살린다, 중앙생활사.
· 손기철(2007). 원예치료의 뜻과 의미, 상담과 선교 - 2007년 겨울, 6-27.
· 심예은, 서정근, 이상훈(2008). 정신지체장애인의 직업적응력 증진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직업재활학회, 직업재활연구, 제18집, 제2호, 89-115.
· 여광용, 송정은(2001). 정신지체인 직업적응을 위한 원예치료의 이론적 탐색,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제8권, 제2호.
· 염승연(1995). 정신지체인 취업준비를 위한 지원체계연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연구보고서.
· 오대민, 장유진, 소인섭, 이영현, 허무룡, 최영애, 허북구(2006). 국내 논문에 있어 원예치료 대상자별 프로그램 분석연구, 원예과학기술지, 제24권, 제1호.
· 유완식(2006). 공단 고용지원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 유진희(2005). 원예치료활동이 생활시설 정신지체 여성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성류(2009).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활동이 정신지체인의 직업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석사 학위논문.
· 이민정, 김홍열 (2007). 원예치료가 정신지체 장애인의 성격 및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이상훈(2000), 중중 장애인 원예치료, 국립재활원 2000재활요원교육자료.
· 이선자, 엄수진, 송종은, 손기철(2007). 화훼장식기능훈련을 이용한 원예치료가 정신지체인의 작업수행능력 향상 및 직업재활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원예치료학과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이양훈(2002). 정신지체인의 직업재활 현황과 과제, 공주영상정보대학 논문집, 9. 245-257.
· 이정우(2001). 재가 정신지체장애인의 직업재활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 장유진, 홍종원, 박천호, 이상희 (2010). 화훼장식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중년주부의 자아존중감 증진 및 우울감 해소,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 장효규(2006). 꽃과 허브식물의 원예치료적 효과. 밀양대학 석사학위논문.
· 전소연(2008). 장기요양시설에서 원예치료가 치매 노인의 정서와 소근육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미화, 이인상, 정용모, 정순재, 윤철호, 조현구, 이영병(2004). 원예 치료가 개방 병동 정신 분열증 환자의 정신 건강 및 사회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 제22권, 제4호, 499-503.
· 조숙자 (2001). 정신지체장애인 직업재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 조현구(2006).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장애인의 직업재활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생명자원과학과 석사학위논문.
· 최영애(2007). 원예치료의 핵심요소, 원예치료연구소 연구보고서, 상담과 선교 - 2007년 겨울, 28-46.
· 최민희, 조태동, 서정근(2010). 원예치료에서 식물・자연 접촉이 지니는 치료적 요인 연구동향과 전망,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9권, 제4호, 517-525.
· 최옥숙(2004). 정신지체인의 고용유지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중옥, 이동원(2000). 위축행동 개선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모형 -중도정신지체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권 제2호, 1-31.
· 최정란, 고정애, 박학봉, 정공수 (2010). 원예치료가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원예학과 정읍시농업기술센터 연구지원과.
· 탁영숙(2004). 꽃꽂이를 이용한 원예치료의 효과: 말기 암 환자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황두하(2006). 원예치료가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운성(1998). 현직훈련을 통한 정신지체인들의 직업적응 과정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