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9.11 테러와 중국 안보정책] 9.11테러 이전 중국의 안보정책, 911테러 이후 중국 안보정책, 중국의 안보정책 변화, 중국 안보정책 전망

2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5.05.31 최종저작일 2015.05
22P 미리보기
[9.11 테러와 중국 안보정책] 9.11테러 이전 중국의 안보정책, 911테러 이후 중국 안보정책, 중국의 안보정책 변화, 중국 안보정책 전망
  • 미리보기

    목차

    1. 서론

    2. 본론(국가체제 수준으로 분석)
    (1) 9.11테러 이전 중국의 안보정책
    1) 9.11테러 이전 중-미 힘의 분배양상
    ① 중-미 협력과 경쟁 병존관계
    ② 중국, 대만, 미국 삼각 갈등
    2) 9.11테러 이전 중국과 주변국의 힘의 분배양상
    ① 9.11 테러 이전 중-러 관계 변화
    ② 9.11테러 이전의 중-일 관계
    ㈀ 냉전기 중일안보관계: 상호이익의 중첩
    ㈁ 탈냉전기 중-일 안보관계: 상호간 위협 인식
    ③ 9.11 테러 이전의 중-ASEAN 관계
    3) 9.11테러 이전의 상호의존: 중국의 다자안보 체제 추구
    ① 9.11테러 이전 중국 다자주의 안보개념의 변화와 그 현황
    ② 다자안보 형성을 둘러싼 중·미 관계
    (2) 9.11테러 이후 중국의 안보정책
    1) 9.11테러 이후 중-미 힘의 분배양상
    ① 중-미 협력기조와 상호불신 잔존
    ② 중국, 대만 , 미국의 삼각 갈등의 변화된 양상
    2) 9.11테러 이후 중국과 주변국의 힘의 분배양상
    ① 9.11 테러 이후 중-러 관계 변화
    ㈀ 9.11 테러 직후 2000년대 초반의 중-러 관계의 변화
    ㈁ 2005년도 중-러 관계의 변화
    ㈂ 중-러 전략연대의 강화배경 판단
    ② 9.11 테러 이후의 중-일 관계
    ③ 9.11 테러 이후의 중-ASEAN 관계
    3) 9.11테러 이후의 상호의존: 중국의 다자안보 체제 추구
    ① 다자안보 체제의 중요성 강화와 중국 대외 정책의 변화
    ② 다자안보 협력체 내 중국의 안보 인식 변화: 상하이협력기구(SCO)를 중심으로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2001년 9월 11일 6000명 이상의 희생자를 낸 9.11테러는 항공기 납치 동시 다발 자살테러로 미국 뉴욕의 110층짜리 세계무역센터(WTC) 쌍둥이 빌딩이 무너지고, 워싱턴의 국방부 청사가 공격을 받았다. 이 테러로 미국의 자존심이 일거에 무너진 것은 차치하고, 이 세기의 대폭발 테러로 인해 90여 개국 3,500여 명의 무고한 사람이 생명을 잃었다. 미국 건국 이래 본토의 중심부가 외부의 공격을 받은 것은 처음이었다. 이에 부시(George Walker Bush) 전미대통령은 9월 12일 테러 개입자들에 대해 사전 경고 없이 보복할 것을 천명하고, 이튿날 '이 테러를 21세기 첫 전쟁'으로 규정하였다.
    이 중요한 역사적 국면은 미국의 다양한 외교정책의 변화를 가져왔다.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며 영국과 연합하여 테러조직을 괴멸하려했으며, 동남아지역이 중동 및 중앙아시아 다음으로 국제테러집단의 주요 활동무대가 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동남아를 중시하는 새로운 전략적 접근을 시도했다. 미국의 정책변화로 일본정부는 같은 해 10월 ‘테러대책특별법’을 제정하였고, 11월 ‘대미지원 기본계획’을 마련하였으며, 12월 ‘PKO협력법’(국제평화협력법)을 개정하였다. 일본은 미-일동맹의 강화기를 맞아 미국의 대테러 전쟁에 매우 적극적으로 협조의사를 표시했다. 초강대국 미국의 안보정책의 변화는 전 세계의 국내정책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시정부 초기에 전략적 경쟁자 관계로 비유된 중국 역시도 예외는 아니었다. 미국의 입장에서 중국과의 관계는 9.11테러 이후 매우 중요한 위치로 부상하였으며 미국은 중국과의 관계를 건설적인 협력관계로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 역시도 미국의 대 테러전 지원 표명 등 중미 관계를 개선하는데 주력하였다. 이것은 동북아 안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9.11 테러 이후 2001년10월 20일 상해에서 개최된 제 9차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회의 기간 중에 열린 중-미 정상회담에서 발표한 “중국과 미국은 적이 아니고 친구이며, 양국은 건설적인 협력관계 발전에 노력하고 있다.

    참고자료

    · 김명소. 중국의 신안전개념과 반패권의 대외정책 전략, 성균관대대학원. 2006
    · 김재두. 「니국의 초강국 지위 존속 가능성 평가」, 한국국방연구원 연구보고서. 2005
    · 김성한. 미국부시 행정부의 동아태 전략. 2001
    · 김흥규. 최근 상해협력기구(SCO의 발전과 중·러 관계 전망, 외교안보연구원. 2006
    · 동북아 전략균형 2003(2003). 서울: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서창호. “탈냉전이후 중국과 미국의 관계”, 『한국동북아논총』, 제33집. 2004
    · 이태환. 중국의 안보전략-9.11 테러 이후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2003
    · 여인곤, 김국신, 강한구. 미-일 동맹 강화에 따른 동북아 정세 변화와 한국의 안보정책 대응전략. 2007
    · 외교안보연구원.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전략환경의 변화: 중국 아세아 관계발전 동향을 중심으로. 2004
    · 정은숙. 상해협력기구(SCO)와 미국 상호인식과 관계전망, 세종연구소. 2008
    · 중국 국방부. 중국 국방백서(Chinese National Defense). 2000
    · Akira Iriye, "Chinese-Japanese Relationship, 1945-1990," Christopher Howe, ed., China and Japan: History, Trends, and Prospects. Oxford: The Clarendon Press. 1996
    · “Euro-Scepticism". The Economist, February 14, 2002
    · Hongying Wang. Multilateralism in Chinese Foreign Policy: The Limits of Socialization, Asian Survey, Vol.40, No.3. 2000
    · hengji Huang. Can big powers still dominate the world today?, Guoji Zhanlue Yanjiu(International Strategic Studies), No.1. 1996
    · John C. K. Daly. "The Caspian oil fix,"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Feb. 8, 2001; " Guzzling the Caspian,"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September 27, 2002
    · Jianwei Wang. Managing Conflicts: Chinese Perspectives on Multilateral Diplomacy and Collective Security, China Views the World. 1999
    · June Tuefel Dreyer, "Sino-Japanese Relations,"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Vol. 10, No. 28. 2001
    · Michael J. Green and Benjamin I., Self, op. cit, pp.43-45; 김성철, op. cit,pp 114-117
    · "Japan;s Changing China Policy: From Commercial Leveralism to Reluctannt Realism" Survival, Vol. 38, No.2. 1996
    · Weixing Hu. Beijing's New Thinking on Security Strategy,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No.3. 1993
    · Zhengyuan Guo. Prospects for Security Cooperation in the Asia-Pacific Region,Beijing Review, Vol.37, No.28. 1994
    · “러-중, 합동군사훈련 주변국 우려 불식에 역점,” 「연합뉴스」, 2005년 8월 13일자
    · “중 ․ 러 사상 첫 연합 군사 훈련이 남긴 것,” 「동아일보」, 2005년 8월 26일자
    · 「해방군보」, 2005년 11월 7일자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