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은주, 「핵 없는 한국을 위한 모색」, 2011.
· 교육과학기술부, 『2008년도 원자력 백서』, 2008
· 김광수, ‘33살 고리1호기’ 연간사고, ‘6살 울진6호기’의 6.7배, 한겨레 신문, 2011.
· 김명진 외, 『탈핵』, 이매진, 2011.
· 김성곤, 민주, UAE 원전수주 맹비난.."파병에 이면계약까지", 아시아경제, 2011.
· 김수진 외, 『기후변화의 유혹, 원자력』, 도요새, 2011.
· 김종한, ‘원전 당장 폐기할 수는 없지만… 수명연장·추가건설 멈춰야’, 한국일보, 2012.
· 새움, ‘MB식 녹색성장은 친환경적인가’, 참세상, 2010.
· 양이원영, “핵에너지 안 쓰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해야 할 일 ‘원전 대전환, 에너지 대안 가능하다’토론회 토론문”, 환경운동연합, 2011.
· 윤순진, 『저탄소 녹색성장’의 이념적 기초와 실재』, 한국환경사회학회, 2009.
· 이수철, “한국의 신재생에너지전력 지원정책 : EU와 일본의 제도 비교분석을 통한 지원정책의 현상과 과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 이유진, 위험지 내모는 ‘원자력 확대 계획’, 한겨레오피니언, 2008.
· 이필렬, “한국에서 에너지 전환이 가능한가”, 2011.
· 장선아, 아이들에게 핵없는 세상을, 화광신문, 2012.
· 장순흥, “에너지 안보의 핵심-원자력에너지 전력 설비 비중 40%로”,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2007.
· 조태임, 일본 원전사고 1년…MB정부만 '나홀로' 원전 확대. 노컷뉴스, 2012.
· 지식경제부, 『2004 원자력발전백서』, 2004.
· 채은하, "원자력은 싸다"?…MB의 거짓말, 프레시안, 2012.
· 한재각 외, “탈핵에너지전환: 대안시나리오를 구상한다”, 에너지기후 정책 연구소, 2012.
· 환경운동연합, “태양과 바람 핵 없는 세상을 노래하다”, 2011.
· 홍인표, UAE원전 수주 과정 ‘대출 이면계약’ 논란, 경향신문, 2011.
· 녹색성장위원회 http://www.greengrowth.go.kr/
· 환경운동연합 http://www.kfem.or.kr/
· 탈핵만화이야기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73849
· 고대승, “한국의 원자력 기구 설립과정과 그 배경”, 「한국과학사학회지」, 제 14권 제1호, 1992. 김수진 외, 『기후변화의 유혹, 원자력』, 도요새, 2011, 201쪽에서 재인용
· 윤순진·오은정, “한국 원자력 발전 정책의 사회적 구성: 원자력기술의 도입초기(1954~1965)를 중심으로”, 『환경정책』, 제 14권 제1호, 2006. 김수진 외, 『기후변화의 유혹, 원자력』, 도요새, 2011, 202쪽에서 재인용
· 참세상, 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nid=55444
· 노컷뉴스,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2082579
·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1311953105&code=920301
· 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21013571039148
· 노컷뉴스,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2082579
· 한국일보, 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1204/h2012040620311886330.htm
· 화광신문 http://www.hknews.co.kr/shk01/shkli000000/shkli030000/shk030100/1224584_1515.asp
· 프레시안,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120302190722
· 한겨레뉴스,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47293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