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과거사 진상규명위원회 종합보고서 제1권』, 2007.
· 송충기 외, 세계화 시대의 서양 현대사, 2010, 아카넷.
· 공진성, 테러, 2010, 책세상.
· 안병직 외, 세계의 과거사 청산, 2005, 푸른역사.
· 임지현, 새로운 세대를 위한 세계사 편지, 2010, 휴머니스트.
· 임지현 외, 기억과 역사의 투쟁 : 2002년 당대비평 특별호 , 삼인, 2002 , p.310-312
· 임지현, 김용우 엮음, 대중독재, 2004, 책세상.
· ‘ ’, ‘ ’ 엮음, 대중독재. 3, 일상의 욕망과 미망, 2007, 책세상.
· 전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 이론과 실전을 위한 기억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5.
· 최호근, 제노사이드, 2005, 책세상.
· 니기타 세르게예비치 흐루시초프, 박성철 역, 개인숭배와 그 결과들에 대하여, 2006, 책세상.로버트 서비스, 윤길순 역, 스탈린 강철 권력, 2007, 교양인.
· 마르크 블로크, 고봉만 옮김, 역사를 위한 변명 ,2007, 한길사.
· 보흐단 나할일로, 빅토르 스보보다, 정옥경 역, 러시아 민족문제의 역사, 2002, 신아사.
· V. P. 드미트렌코 외, 이인호 역, 다시 쓰는 소련 현대사, 1993, 열린책들.
· 존 M. 톰슨, 김남섭 역, 20세기 러시아 현대사, 2004, 사회평론.
· 프리실라 B.헤이너, 주혜경 역, 국가폭력과 세계의 진실 위원회, 2008, 역사비평사.
· 한나 아렌트, 이진우, 박미애 역, 전체주의의 기원 1,2, 2006, 한길사.
· Anne Applebaum, Gulag: A History, New York : Anchor Books, 2004.
· 김민철, 「한국의 ‘과거청산’ 운동」, 한일협정 40년에 즈음한 한일평화심포지엄, 포럼 진실과 정의(2005.6).
· 김동택, 「‘대중독재’ 분석과 정치적 함의」, 역사와 문화 제9권(2044), pp.277-298, 문화사학회.
· 김동춘, 「한국 과거청산의 기본방향」, 과거청산을 위한 학술 심포지엄, 포럼 진실과 정의 (2004.9).
· 구자정, 「개발 독재 시기 한국 현대사 서술을 통해 본 현대 러시아의 한국 인식과 자기 인식 : 러시아의 한국 현대사 인식 속에 투영된 현대 러시아의 자화상」 ,국제지역연구 제14권 제3호(2010), pp.3-28,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 권은중, 「인혁당사건 대책위원회 발족 : 24년 만에 밝혀지는 터무니없는 조작극, 인혁당」, 월간 사회평론 길(1998), 사회평론.
· 기연수, 「고르바쵸프의 개혁에 관한 고찰 : 개혁의 성격규명을 중심으로」, 슬라브연구Vol 21(2005), pp.65-87,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 김남섭, 「고르바쵸프 혁명과 스딸린 체제 : 글라스노스찌 시대의 역사 다시 쓰기」, 인문과학논총 Vol.54(2005), pp.3-44,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 ’, 「스탈린 테러와 소련의 강제수용소 : 굴라그와 강제 노동의 경제학」,제노사이드연구 Vol.3(2008), pp.67-99, 한국제노사이드연구회.
· ‘ ’, 「소련 해체 후 러시아,동유럽 역사 재조명 ; 스탈린 대테러와 "인민의 적"의 자녀들」, 서양사론Vol.111(2011), pp.53-86, 한국서양사학회.
· ‘ ’, 「"우리 안의 스딸린" : 스딸린 테러와 러시아인들의 기억」, 러시아연구 Vol.14(2004), pp.307-336.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 박상철, 「흐루시초프의 '비밀 연설' : 동기와 배경을 중심으로」,러시아연구 Vol.14(2004), pp.211-242,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 ‘ ’, 「페레스트로이카와 스탈린 문제 : '메모리알'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러시아연구 Vol.15(2005), pp.129-160,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 안병욱, 「한국 과거청산의 현황과 과제」, 역사비평, 2010) 겨울호 통권93호 pp.32-60.
· 우평균, 「스탈린체제와 소비에트 근대화 : 체제의 특성과 근대화 지표 비판」, 고려대학교 평화연구논집 14권 1호(2006), pp.115-180, 고려대학교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 이광일, 「[5·18 연구] 5·18민중항쟁, '과거청산'과 재구성의 정치」, 민주주의와 인권, 제4권 2호(2004),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 이영민, 「국정원 과거사진실위원회의 허상을 고발한다 : 「인혁당조작」은 조작이다 - 국정원의 과거사 「진실위원회」는 「진실왜곡위원회」라야 맞다」, 한국논단(2006), 한국논단.
· 이영재, 「과거청산과 민주주의 :5·18 사법적 처리의 의의를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제4권 제2호(2004), pp254~p281,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 이종오, 「한국의 국가, 시민사회, 5. 18운동」, 1996년 한국사회학회 전기사회학대회 발표문 요약집(1996.6), 한국사회학회.
· 임지현, 김용우, 「‘대중독재’란 무엇인가?(‘대중독재’란 무엇인가?)」, 역사와 문화 제9권(2004), pp245-258, 문화사학회.
· 임상혁, 「특집 : 과거청산과 민사적 문제 ; 삼청교육대의 위법성과 민사상 배상」, 법과 사회(2002), 법과사회이론학회 (구 법과사회이론연구회).
· 전진성, 「기억의 정치학을 넘어 기억의 문화사로- ‘기억’연구의 방법론적 진전을 위한 제언」, 역사비평 2006년 가을호(통권 76호), pp.451-483.
· 정천구, 「제 2장 전체주의와 강제수용소」, 통일전략 11권 1호, pp.47-81, 한국통일전략학회.
· 정호기, 「한국의 과거청산 작업의 한계와 성과」, 과거청산 포럼자료집, 제9호 (2004) pp.14~p38, 한국역사연구회.
· 최호근 「서평: 전진성,<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이론과 실천을 위한 기억의 문화사> (휴머니스트,2005), 서양사론 제 89호, p.458.
· 홍성태, 「특집 : 4월혁명의 기억과 제도화 ; 4월혁명 기억의 제도화와 사회적 결과 」, 기억과 전망,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0, Vol.22, p.176.
· Mario Sousa, ‘Lies concerning the history of the Soviet Union’ (1998) (http://www.mariosousa.se) 김영진 역, 「스탈린의 학살은 진실인가?」
· 러시아 인권 시민 단체 “메모리알”(Мемориал) 공식사이트 http://www.memo.r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