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의 이해 a+ (중간)]한국경제 발전 과정/ 한국경제 발전 원동력
- 최초 등록일
- 2019.04.09
- 최종 저작일
- 2019.01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1,500원

목차
1. 한국경제발전과정
1) 해방 이후, 한국 경제의 출발점
2) 1950년대: 전쟁 이후 원조경제
3) 1960년대: 국민들의 희생으로 만들어진 고도 경제 성장 시대
4) 1970년대: 최초로 경상수지 흑자 달성
5) 1980년대 : 경제는 안정적
6) 1990년대: imf위기로 닥친 경제 악화
7) 앞으로 경제 발전을 위해서
2. 한국경제발전원동력
1) 한국 경제 발전
2) 정부의 정책
3) 국민들의 희생과 노력
4) 외부의 상황
5) 앞으로의 발전 방향
본문내용
-해방 이후, 한국 경제의 출발점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망하며 한반도는 갑작스럽게 해방을 맞게 되었다. 조선은 친소 사회주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 북한과, 친미 자본주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 남한으로 분리되었다. 이후 1948년 8월 15일 남한만의 단독정부인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제는 해방 후 더 좋아지는 것이 마땅할 것 같았으나 오히려 해방 전 일제식민지 때보다 더 악화되었다. 일본 기술자들이 귀국하면서 공장 가동률이 감소했고, 해방 소식을 듣고 찾아온 해외 동포로 인해 인구가 증가하여 식량난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심각한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정부는 자립 경제의 확립을 위한 세가지 정책을 시행하였다. 첫번째로 토지 개혁을 실시하였다. 당시 농지의 64%가 소작지이고 대다수의 농민이 소작농이었다. 정부는 유상몰수 유상분배의 방식으로 토지 개혁을 시행하여 농민이 직접 농사를 지어 경제활동을 할 수 있게 하였다. 두번째로 대부분 일본인들의 소유였던 귀속재산을 처리하였다. 국가는 이를 지주 등 일제시대 때 돈이 많던 사람들에게 헐값에 매각하였고, 이것이 후일 대한민국 재벌들의 출현의 밑거름이 된다. 마지막으로 1950년 4월 한국은행법을 제정하고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을 설립하였는데 발권 은행, 정부의 은행, 통화금융기관으로서 은행의 은행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이를 통하여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을 시작하려는 찰나에 6.25전쟁이 발발하였다.
-1950년대: 전쟁 이후 원조경제
전쟁으로 인해 한국 경제는 다시 몰락하고 말았고 원조 경제를 겪는다. 이에 원조 물자인 밀가루, 설탕, 면화를 가공하는 삼백산업이 발달하였다. 당시의 주요 수출품은 철광, 김 등 지하자원과 농수산물로, 수출액은 낮았으며 산업 발전은 느렸지만, 미국의 원조로 미국의 물품, 생활을 보며 미국을 동경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