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독일문화영상이라는 과목을 들으면서 부산국제영화제를 즐기고 와서 쓴 레포트입니다.부산국제영화제를 소개하며 비평하고, 그 영화제의 영화도 비평한 자료들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1. 부산국제영화제란?2. BIFF의 역사
3. 세계 3대 영화제
4.국내영화제
5.부산국제영화제 분석
Ⅰ.행사의 종류
Ⅱ.문제점
Ⅲ.해결방안
6.부산국제 영화제 전망
7.영화비평
본문내용
1. 부산국제영화제란?대한민국의 항구 도시 부산에서 매년 10월에 열리는 국제 영화제로 행사로는 아시아의 신작과 화제작을 소개하는 '아시아 영화의 창', 신인 감독들의 초기작을 소개하는 '새로운 물결', 한국의 수준 높은 최신작을 알리는 '한국 영화 파노라마', 세계의 최근 화제작을 소개하는 '월드 시네마', 영화의 지평을 넓히는 단편영화, 실험영화,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들의 최신작을 소개하는 '와이드 앵글', 신작과 화제작을 열린 야외 공간에서 상영하는 '오픈 시네마', 비평가가 선정한 새로운 영화예술가들의 작품인 '크리틱스 초이스', 한국 영화 발전에 기여한 특정 감독이나 주제의 회고전인 '한국 영화 회고전', 매년 새롭게 기획되는 '특별기획' 등이 있다
*동양문화의 고유함을 살린 부산국제영화제의 문장
*부산국제영화제의공식캐릭터로`부산국제영화제의생명력
대중적인 영화제 지향의 늘푸른 의지`,한국영화의 신단수등을 상징한다.
2. BIFF의 역사
제1회 BIFF
-1996년 9월 13일부터 21일까지 수영만에서 개막식을 시작으로 화려한 막을 올렸다.
-개막작은 같은 해 열린 칸 영화제에서 최우수 작품상인 황금종려상을 비롯, 여우주연상, 국제 비평가상 등을 받은 유럽영화 `비밀과 거짓말`이 선정되었다.
제2회 BIFF
-개막작은 중국 출신으로 미국에서 작품을 만드는 웨인 왕 감독의 `차이니즈 박스`로 정하였다.
-회고전에는 `홍콩영화`, `김기영 감독전`, `아시아 초창기 영화`가 준비됐다.
-뉴커런츠 상에는 한국의 `모텔 선인장`이 수상하였다.
제3회 BIFF
-개막작은 ‘고요’, 폐막작은 일본의 ‘간장선생’으로 모두 이란과 일본을 대표하는 비중 있는 감독의 작품인 아시아 영화가 상영되었다.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중남미 영화와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모리타니아 영화가 첫선을 보였다.
-특별전으로 다큐멘터리와 한인 우수작, 여성감독의 작품과 고 유영길 촬영감독의 회고전을 선보였다.
참고 자료
부산의 영화 부산의 극장 / 안병화 / 국제신문부산국제영화제 / 김호일 / 자연과 인문
영화, 영화인 그리고 영화제 / 김동호 / 문학동네
http://www.biff.kr/kor/html/archive/arc_history15_01.asp
http://www.biff.kr/Template/Builder/00000001/page.asp?page_num=4159
http://movie.naver.com/movie/bi/fi/basic.nhn?code=1
http://movie.naver.com/movie/bi/fi/basic.nhn?code=15
http://movie.naver.com/movie/bi/fi/basic.nhn?code=13
http://movie.naver.com/movie/bi/fi/basic.nhn?code=20
http://movie.naver.com/movie/bi/fi/basic.nhn?code=16
http://movie.naver.com/movie/bi/fi/basic.nhn?code=14
http://movie.naver.com/movie/bi/fi/basic.nhn?code=33
http://movie.naver.com/movie/bi/fi/basic.nhn?code=31
http://movie.naver.com/movie/bi/fi/basic.nhn?code=3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87937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86896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부산국제영화제의 역사, 성공요인, 나아가야할 방향 11페이지
- 부산국제영화제의 성과와 성공요인 4페이지
- [광고홍보] 카피의 개념 4페이지
- [광고, 마케팅, 산업심리, 직무분석] 광고 카피라이터 직무분석 15페이지
- PR 8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