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 간호 관련 주요 문제 중 하나인 '욕창' 에 관해
관련된 논문 5편의 요약과 함께, 욕창간호에 관한 분석 평가 및 견해로 이루어진 레포트 입니다.
A+ 받은 자료예요 ^^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논문 1:중환자실 환자의 입실 시 욕창 보유의 위험요인 - 분석 및 평가
2. 논문 2:욕창예방과 중재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 - 분석 및 평가
3. 논문 3: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욕창간호 지식, 욕창예방 태도 및 수행에 관한 연구 - 분석 및 평가
4. 논문 4:중환자실 노인환자의 욕창예방 중재가 피부의 pH, 수분 량 및 욕창발생에 미치는 영향 - 분석 및 평가
5. 논문 5:욕창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요인 분석 - 분석 및 평가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욕창은 마찰력과 전단력이 결합되어 지속적인 압력으로 인해 피부나 기저조직이 손상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입원환자의 욕창 발생률은 간호환경에 따라 1.51∼3.9%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며, 특히 중환자들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합병증으로 14∼34.4 %까지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욕창의 발병과 발생률의 증가는 단지 한 가지 요인만으로 초래되는 것이 아니라 환자 요인, 환경 요인, 치료적 요 인, 제공자적 요인과 관련되어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초래된다. 환자 요인으로는 고령, 당뇨, 척추손상, 인지 기 능 손상, 혈관계 질환, 저혈압, 흡연력, 부종, 저알부민 증, 영양결핍 말초혈관장애, 이전의 욕창 경험 등을 들 수 있다. 환경 요인으로는 입원경로, 간호사 대 환자 비율, 환자 100명당 의사 수, 이동방법, 침대표면 혹은 매트리스 사용, 계절 ,기후 등이 있다. 치료적인 요인으로는 수술 혹은 수술 횟수, 입원 시 총 수술 시간, 혈액투석, 순환기계 약물 사용, 도뇨관, 억제대, 인공호흡기 등의 기구 삽관 적용으로 부동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 욕창 발생을 촉진 시키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욕창의 발생률을 살펴보면, 선행 연구에서 일반병동의 욕창발생률은 9.68∼30%(송미순 & 최경숙, 1991; 이유진,2011;임경춘 & 송미순,1996), 중환자실은 28.2∼45.5%(김영경, 2000; 이종경, 2006; Slowikowski& Funk,2010)로 보고되어 일반 병동보다 중환자실에서의 욕창 발생률이 더 높음을 알 수 있다.또한 중환자실의 경우 입실 후 발생하는 욕창 보다 입실 시 지니고 오는 욕창이 더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신정화, 2009).
이처럼 중환자실에서 욕창의 유병 률과 발생률이 높은 이유는 첫째, 중환자실 환자는 입실 전 응급실, 일반 병동, 수술실에서 체류하는 경우가 많다.
응급실의 경우 입원이 지연되면 응급실에서의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데 이 경우 욕창 발생의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으며 특히 중증도가 높은 중환자들의 응급실 체류시간이 더 길다고 한다(김은주 등,2011;한남숙, 박재용, 이 삼범, 도병수,& 김석범 ,2000; Kaitani, Tokunaga, Matsui,& Sanada,2010)
두 번째 원인은 의료장비의 사용이다.
참고자료
· 김경남,강경자,이현숙,신연희,김선경,박광희 등(2011).일개 대학병원 입원환자의 욕창 실태와 욕창상태 영향 요인. 임상간호연구, 17(3),433-442.
· 김금순,김진아,김문숙,김유정,김을순,박광옥 등(2009).욕창, 낙상예방 및 통증간호의 간호과정 적용 평가도구 개발. 임상간호연구, 15(1),133-147.
· 김영경(2000).욕창발생 위험 사정도구의 적용 성 평가 Ⅱ.간호과학학회지,12(2),37-51.
· 김재희(2005).중환자실 간호사의 욕창관련 간호지식과 간호수행 및 중환자의 욕창발생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강릉.
· 김진미,박정숙(2010).입원환자의 욕창예방과 중재를 위한 알고리즘 계발. 성인간호학회지,22(4),353-364.
· 권은옥,엄인향,장선주,심미영,이수희(2012).간호사의 입원환자 욕창 사정에 대한 정확성. 임상간호연구, 18(1),29-38.
· 권은숙 (2005).병원간호사의 욕창간호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행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박성아.(2002). 욕창 예방을 위한 의사결정 흐름도 개발.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 박순미.(1999).수술과 관련된 욕창발생 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부산.
· 박승미,양남영,최정실(2013).임상간호사의 욕창예방간호에 대한 태도와 수행 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근 관절 건강학회지,20(1),43-51.
· 박종연(2010).신경계 중환자실 노인환자의 중증도가 욕창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 박경옥 (2005).중환자실 간호사의 욕창지식과 욕창 간호중재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송미순, 최경숙.(1991).욕창발생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21(1),16-26
· 신경림,김미영,강윤희,정덕유,차지영,이에리쟈 등(2012). 노인 병원 욕창위험군의 욕창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시설요인 및 간호요인. 노인 간호학회지,14(1),30-39.
· 신정화(2009).내과중환자실 입원환자의 욕창특성과 욕창발생 위험 요인.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대구.
· 이명옥 (2000).병원간호사의 욕창간호 지식수준. 성인간호학회지,12(4),619-628.
· 이명선.(2004).욕창 예방 프로토콜 적용이 중환자의 욕창발생 감소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 이종경.(2003). Bradensacle을 이용한 신경외과 중환자의 욕창위험요인 사정과 욕창 발생과의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15(20),267-277.
· 이현정.(2008).개심술 환자의 욕창 예방 프로토콜 적용 및 효과 평가.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 임경춘,송미순.(1996).30도 측위를 포함한 체위변경이 욕창예방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8(2), 274-290.
· 임미자.(2006).신경계 중환자의 욕창발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부산.
· 정은희(2004).Benzolyperoidelotion의 여드름 피부 적용 후 pH,유분, 수분의 변화.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 한남숙,박재용,이삼범,도병수,김석범(2000).응급의료센터 내원환자 진료 시 소요시간과 관련된 요인. 한국의료QA학회지,7(2),138-155
· 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 Care Nurse (2008).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28,83-85
· Bansal,C.,Scott,R.,Stewart,D.,& Cockrell,C.J.(2005).Decubitus ulcre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Dermatology,44(10), 805-810.
· Cox,J.(2011).Predictors of pressure ulcers in adultc ritical care patients. AmericanJ ournal of Critical Care, 20(5),364-375.doi:10.4037/ajcc 2011934
· NPUAP Pressure ulcer stages/categories USA: The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 Pieper,B.,& Mattern,J.C.(1997).Critical care nurses' knowledge of pressure ulcer prevention, staging and description. Ostomy Wound Management, 43(2),22-31.
해피캠퍼스에서는 자료의 구매 및 판매 기타 사이트 이용과 관련된 서비스는 제공되지만, 자료내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는 안내가 어렵습니다.
자료에 대해 궁금한 내용은 판매자에게 직접 게시판을 통해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1.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구매자료] 에서 [자료문의]
2. 자료 상세페이지 [자료문의]
자료문의는 공개/비공개로 설정하여 접수가 가능하며 접수됨과 동시에 자료 판매자에게 이메일과 알림톡으로 전송 됩니다.
판매자가 문의내용을 확인하여 답변을 작성하기까지 시간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휴대폰번호 또는 이메일과 같은 개인정보 입력은 자제해 주세요.
※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찾으시는 자료는 이미 작성이 완료된 상태로 판매 중에 있으며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자료를 직접 검색해야 합니다.
1. 자료 검색 시에는 전체 문장을 입력하여 먼저 확인하시고
검색결과에 자료가 나오지 않는다면 핵심 검색어만 입력해 보세요.
연관성 있는 더 많은 자료를 검색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검색결과가 너무 많다면? 카테고리, 기간, 파일형식 등을 선택하여 검색결과를 한 번 더 정리해 보세요.
2. 검색결과의 제목을 클릭하면 자료의 상세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썸네일(자료구성), 페이지수, 저작일, 가격 등 자료의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소개글, 목차, 본문내용, 참고문헌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기능을 잘 활용하여 원하시는 자료를 다운로드 하세요
자료는 저작권이 본인에게 있고 저작권에 문제가 없는 자료라면 판매가 가능합니다.
해피캠퍼스 메인 우측상단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자료 개별등록]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자료등록 순서는?
자료 등록 1단계 : 판매자 본인인증
자료 등록 2단계 : 서약서 및 저작권 규정 동의
서약서와 저작권 규정에 동의하신 후 일괄 혹은 개별 등록 버튼을 눌러 자료등록을 시작합니다.
①[일괄 등록] : 여러 개의 파일을 올리실 때 편리합니다.
②[개별 등록] : 1건의 자료를 올리실 때 이용하며, 직접 목차와 본문을 입력하실 때 유용합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