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林毅夫, 蔡昉,『中國經濟』, 北京, 財政經濟出版社, 2003,9.
· 吳敬蓮, 『中國槪況』
· 王洪春, 阮宜勝,『中國民工潮的經濟學分析』, 中國商務出版社, 2004,3.
· 鄒至庄, 『中國經濟轉型』,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5.6.
· 闕忠東, 『轉型期中國地方政府行爲的硏究』, 中央編譯出版社, 2005,7.
· 中兼和津次, 『中國經濟發展論』, 나남출판, 2001,6.
· 古澤賢治, 『중국경제의 역사적 전개』, 한울아카데미, 1995, 9.
· David P . Rapkin, National Competitiveness in a Global Economy , Lynne, Rienner Publishers Inc , 1995.
· Douglas Holtz一Eaki and ThomasM.Selden. Stokingthefires? COZ emissions and economie growth. Journal of Public Economics, 1995, 57(1): 85-101.
· Grossman G M, Krueger A B. Economic growth and the environment (J).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0: 53-77, 1995.
· Me Eiroy,MB, et al. Energizing China: Reconciling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nomic Growth. Harvard University Press. 1998.
· Vivek Suri and Duane ChaPman. Economic growth, trade and energy: implications for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Ecological Economics, 1998, 25(2): 195-208.
· Shin-ichi Fukuda,Hideki Toya. Conditional Convergence in East Asian Countries: The Role of Exports in Economic Growth(M).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5:247-265.
· 陳璋, 『中國經濟增長方式基本特征的實證硏究』, 韓中社會科學硏究, 제5권 1호(통권 9호)
· 黎云, 『论邓小平区域经济思想中的“两个大局”构想』, 武汉理工大学, 2004, 07, 08.
· 中國國家統計局, 『中國統計年鑑』, 1998-2006년 각 년도, 北京, 國家統計局
· 中華人民共和國 國家統計局 홈페이지: http://www.stats.gov.cn/
· 정명기, 『중국경제론』, 한남대학교출판부, 1999,5.
· 황진영, 『경제성장의 정치경제학』, 한남대학교출판부, 2005.
· 강승호, 개혁 후 중국의 지역격차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논문, 1996.
· 李根, 徐錫興, 中國의 毛澤東과 鄧小平時期 經濟發展모델의 比較分析, 한국경제발전학회, 1996.
· 韓勇德, 中國의 地域經濟成長과 地方財政支出의 因果關係에 관한 硏究, 경희대학교 석사논문, 2000. 2.
· 柳恒根, 經濟成長과 極貧階層의 所得變化分析: 世界 70개국 橫斷面資料分析, 國際經濟硏究, 제6권 제3호, 2000. 12
· 이동호, “중국의 지역격차 발생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지역개발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4.2.
· 이갑수, 김창수, 김영재, 지역혁신 네트워크의 경제이론과 유럽사례연구, 經濟硏究 第23卷 第4號, 韓國經濟通商學會, 2005,12.
· 양지청, 『중국의 경제발전과 성장전략 평가: 시사점과 문제』, 지역연구 제21권 3호, 2005, 12.
· 홍정륜, 구기보, 『중국경제성장정책의 변화 연구: 불균형에서 균형으로』, 中國硏究 第38卷, 2006, 12.
· 金東河, 『중국 거시경제정책의 한계성에 관한 연구』, 현대중국연구 제8집 2호, 2006, 12.
· 姜尙穆, 中國의 地域成長分析, 經濟學硏究 제50집, 제4호.
· 盧龍煥, 劉庚遠, 情報隔差와 經濟成長: 國家間 패널資料를 이용한 分析, 國際經濟硏究, 제12권 제3호, 20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