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교육학개론] - 마에스트로 리더십이 교장 리더십에 주는 시사점

"[교육학개론] - 마에스트로 리더십이 교장 리더십에 주는 시사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1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4.10.20 최종저작일 2014.10
18P 미리보기
[교육학개론] - 마에스트로 리더십이 교장 리더십에 주는 시사점
  • 미리보기

    목차

    Ⅰ. 마에스트로(Maestro)
    1. 마에스트로의 개념
    2. 마에스트로의 자질과 리더십
    가. 마에스트로의 음악적 자질
    나. 마에스트로의 리더십

    Ⅱ. 마에스트로 리더십이 교장에게 주는 시사점
    1. 인사 배치
    2. 유연한 대처
    3. 존경심
    4. 비전과 목표 제시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마에스트로(Maestro)

    1. 마에스트로의 개념

    우리가 흔히 지휘자를 마에스트로라고 부른다. 원래 마에스트로는 마에스터(Master)에 대한 경칭으로 지휘의 대가를 이르는 말이다. 마에스트로는 최고 수준의 지휘자뿐만 아니라 악기를 만드는 명장을 비롯한 예술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에게 붙이는 호칭이기도 하다(서희태, 2010).
    김현종(1993)에 의하면 지휘란 관현악, 합창, 오페라 등의 2인 이상이 연주할 때 연주나 합창자들에게 악곡의 속도, 박자, 셈여림, 표정, 아고긱(Agogik), 프레이징(Phrasing), 밸런스(Balance) 등에 관한 해석의 통일을 도모하는 것을 말한다. 연주로 표현하는 작업을 지휘라 하고, 그 작업을 담당하여 신체적인 동작을 통해 통일시키는 사람을 지휘자라 한다. 김경양(2002)은 지휘란 오케스트라나 합창의 연주를 감독하고 지도하는 과정이며, 그것을 하는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즉 연주단체를 감독, 관장하는 예술 행위이며, 연주단체의 앙상블, 단원들의 악곡해석을 통일하고 스스로의 음악적 내용표현 의지를 부여하여 연주로 표현하는 것이다.
    지휘자는 작곡가의 사상과 감정을 담아 창조한 작품을 정독하고 분석하여 작곡가의 음악적 구상과 표현을 이해한 후, 자신만의 음악적인 내용을 가미하여 해석하고 음악적인 취향이 다른 연주자와 표현하고자 하는 음악을 재창조 하는 사람들이다(현동혁, 2011). 지휘자는 무대 위에서 객석을 등지고 서 있지만 최고의 음악을 만들어서 관중을 매료시키고자 단원들 한 명 한 명에 집중하는 사람이며, 수십 명의 단원이 다양한 악기로 내는 각양각색의 소리를 잘 조화시켜서 통일된 하나의 음악으로 만들어내는 사람이다(서희태, 2010: 92).
    마에스트로(이탈리아어 및 스페인어:maestro, Maestro)의 사전적 의미는 예술가, 전문가에 대한 경칭 또는 칭호. 마스터 또는 교사의 이탈리아어이다. 특히 서양 클래식 음악이나 오페라의 지휘자, 음악 감독, 작곡가, 스승의 경칭으로서 이용된다. 20세기에 들어오면서 한국에서는 음악적, 인격적인 면에서 훌륭한 통솔력을 갖춘 거장 또는 지휘자를 마에스트로라고 부른다.

    참고자료

    · 금난새(2007). 마에스트로 금난새 열정과 도전. 서울: 생각의 나무.
    · 금난새(2008). 금난새의 내가 사랑한 교향곡. 서울: 생각의 나문.
    · 김경양(2002). 지휘법. 광주: 조선대학교 출판부.
    · 김규현(2005). 명 합창지휘자와의 대화. 서울 예솔.
    · 김중석(2002). 지휘법의 이론과 실제. 서울: 음악춘추사.
    · 김현종(1993). 지휘법의 정석. 서울: 음악춘추사.
    · 루펠, H. K. H(1982).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의 예술성. 레코드음악(17)2, 58-60.
    · 박문정(2005). 예술농촌. 서울: 동덕여자대학교. 133-165.
    · 서정화(2002). 학교경영과 교장의 리더십. 국립특수교육원. (-)3, 41-54.
    · 서희태(2010). 클래식 경영 콘서트 대한민국CEO를 위한 클래식 아트경영. 서울: ㈜비전비엔피·비전코리아.
    · 서희태(2008). 베토벤 바이러스. 서울: MBC프로덕션.
    · 신상명, 김덕희, 박종렬 외(2007). 신교육행정 및 경영. 서울: 형설출판사.
    · 신재흡(2010).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서울: 동문사.
    · 신주영(2005). 마에스트로 정명훈의 당당한 귀향. 월간 샘터. (427)-, 20-21.
    · 양방언(2010). 프런티어 상상력을 연주하다. 서울: 시공사.
    · 열린책들 편집부(1996). 지휘자와 오케스트라. 서울: 열린책등.
    · 유평수(2011). 교육행정 및 경영. 서울: 학이당.
    · 유현숙(1995). 학교단위책임경영제 그 성공전략은 무엇인가. 교육월보. 3월 교육인적자원부.
    · 이덕희(1997). 불멸의 지휘자 토스카니니. 서울: 예하.
    · 이상기, 옥잠흠(2010). 신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서울: 형설출판사.
    · 이지영(2010).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서울: 청목출판사.
    · 정태범(1998). 한국교육의 구조적 개혁. 서울: 양서원.
    · 폴 뒤 부셰, 권재우(역)(1996). 바흐, 천상의 선율. 서울: 시공사.
    · 함영기(2008). 교사리더십. 서울: 바로세움.
    · 허병기(2008). 학교조직의 문화적 리더십이 갖는 예술성. 교육행정학연구, (26)4, 489-507.
    · 현동혁(2011). 오케스트라 지휘. 서울: 예솔.
    · 홍은정(2009). 지휘의 거장들. 서울: 을유문화사.
    · 홍정수, 김미옥, 오희숙(2006). 두 길 서양음악사 1 개정판. 서울: 나남출판사.
    · Anna S. Roh Senior Editor, Auditorium Lee Eun-joo Photographer(2004). Maestro Chung Myung-whun; Envisions a World United by Music. The Korea Foundation. (18)1, 44-47.
    · Bennis, Warren, Nanus, Burt(1997). Leaders: The Strategies for Taking Charge. HarperBusiness. 김원석(역)(2006). 리더와 리더십: 워렌 베니스의. 서울: 황금부엉이.
    · Boehman, Jessica Marie(2009). Maestro Ercole Ferrata. Ph.D. University of Pennsylvania.
    · Finn, William Joseph(1960). The art of the choral conductor, v. 2. Illinois: Evanston, Ill. : Summy-Birchard Co.
    · Hoy, Wayne K, Miskel, Cecil G(2002). Theory and research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Connecticut: wich, Conn. : Information Age Pub.
    · Hunsberger, Donald, Ernst, Roy, Schindler, Allan(1992). The art of conducting. New York : McGraw-Hill.
    · MCB UNIVERSITY PRESS LTD(1994). LEADERSHIP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15)1. 22.
    · Maxwell, John C.(2007). The 21 Irrefutable Laws of Leadership. Tennessee: Thomas Nelson Inc. 홍성화(역)(2010). 존 맥스웰 리더십 불변의 법칙. 서울: 비즈니스북스.
    · Uehling, PETER(2006). Karajan. Eine Biographie. Berlin: Reinbek bei Hamburg. 김희상(역)(2009). 불꽃의 지휘자 카라얀. 21세기북스.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