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의 국정비전 및 국정목표, 청와대, 2013』에 따르면 박근혜 정부는 창조경제의 주역으로서 중소기업을 활성화하는 것을 제 1의 국정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국정목표에 발맞춰 대외경제협력기금을 통한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진행 중이지만 이는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EDCF를 활용한 중소기업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P2 기획재정부, 2013』에서 살펴보면 중소기업의 대외경제협력기금을 통한 해외 진출 비중은 1987년부터 2012년에 이르기까지 건수 기준으로는 33%, 수주액 기준으로는 16% 수준에 머물고 있다. 분야별로는 사회간접자본 분야보다는 교육, 보건, 공공행정 분야 중심이며 100억 원 미만의 소규모 사업에 주로 참여하고 있고, 사업 단계별로는 본 구매 컨설팅(47%), 타당성조사(44%), 본 사업 구매(20%)순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처럼 중소기업의 대외경제협력기금을 통한 해외진출이 부진한 이유에 대해서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EDCF 본 사업’은 사업 기간이 긴 대형 인프라 사업이 대부분으로,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이 사업수행 경험, 재무구조, 인력현황 등에 있어서 불리하다. 둘째, EDCF 사업 인찰 평가 시 수원국 정부가 인지도가 높은 대기업을 선호한다는 점. 마지막으로는 중소기업이 수원국의 법, 제도 및 현지 정보에 취약하다는 점이다.
1.2 현행 대책 및 한계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획재정부 및 수출입은행은 현재 다음[표1]과 같은 대책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비중을 사업 단계별 관점에서 보았을 때, 본 사업 구매 단계에서의 중소기업 비중이 ‘컨설팅 및 타당성 조사 분야’에 비해서 상당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본사업 구매’는 EDCF사업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이를 고려한다면 결국 중소기업이 수주액을 기준으로 16% 정도밖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본사업 구매 단계’에서 중소기업의 참여가 저조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 강준영 서상현 공유식,『중국의 대 아프리카 ODA 전략과 한국의 대응』, 전략』,단국대학교 중국연구소, 2010.7, 중국연구 제49권 pp.263286
· 개경통 정진섭 (2012). 『한국 공적개발원조(ODA)의 배분 전략: 한국의 對아시아 국가 ODA 실증분석을 중심으로』,2012, 전문경영인연구 15(3): 81102.
· 구정우 김대욱 (2010.12). 『세계사회와 공적개발원조 : 한국 ODA 결정요인 분석』, 2010.12,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p4360.
· 김대영,『사람들은 왜 브랜드를 사랑하는가 , 숭실대학교, 2011.
· 김동춘, 『마케팅 활동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선도브랜드와 후발브랜드 비교를 통해』, 연세대학교, 2004.
· 김세환, 『소비자의 브랜드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2001.
· 김윤진,『후발기업의 추월전략과 자체브랜드 성공사례에 관한 연구 : OEM에서 OBM 이행사례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글로벌 ODA, 성공 DNA를 찾아라, 2011. 7, KOTRA자료 11028, 2530 참조
· 박영호 외 3인 ,『세계 주요국의 아프리카 진출전략 및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 박종철 홍성준 박명진, 『유통업체 브랜드의 표기형태가 품질지각에 미치는 영향: 유통업체 브랜드 지식과 시용여부의 역할』, 마케팅학회, 2008.12, 제 23권 제 4호 p5170.
· 박창호, 『국제개발협력의 효과성 증진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고찰』, 한양대학교, 2010.
· 심천지, 『후발기업의 마케팅 성공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2006.
· 안지수, 『후발기업의 전략유형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 시장형태와 기업능력을 중심으로』,고려대학교,1999.
· 이계우, 『공적개발원조 배분정책과 실적』, 2011.12,『한국개발연구』 33(4), 4982.
· 이용학 김경진, 『저관여 상품의 사용동기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품학회, 2009.12, 상품학연구 제27권 제4호 pp.105120.
· 이은엽, 『체험 마케팅이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4.
· 이창재 권 율 안응호, 『공적자금의 연계를 통한 對개도국 경제협력 증진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
· 이한철, 『KOICA.EDCF.KOTRA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현장중심 조직.인력 확충 추진』, 기획재정부, 2011.3.3
· 장윤섭, 『정보전달이 가능한 광고가 사용될 경우의 제품 품질에 대한 신호모형』,성균관대학교,2008.
· 정유아, 국가지원전략(CAS) 프로세스 정형화 방안. 『[KOICA] KOICA 개발정책 포커스』,2010.
· 정유아,『한국공적개발원조(ODA)의 국가지원전략(CAS) 활용 현황과 과제』,[KOICA] 국제개발협력,2009
· 지창구, 『후발기업의 추월전략에 관한 연구』 : 한일 조선기업 사례를 중심으로,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 최인규, 『다국적 브랜드의 선호요인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4
· 하영원 서찬주, 『후발진입상표가 시장개척 상표를 앞지르는데 있어서 광고의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광고학회, 1999.
· 현소은 유창조, 『경쟁브랜드간의 온라인 제품정보가 브랜드평가에 미치는 영향 : 정보유형과 시장지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2011
· 황부영, 『1등 브랜드와 싸워 이기는 마케팅 전략』,한국마케팅 연구원, 2008.
· http://www.fas.org (최종열람 2013.11.4)
· http://www.imf.org(최종열람 2013.11.4)
· http://csf.kiep.go.kr(최종열람 2013.11.4)
· http://www.wto.org(최종열람 2013.11.4)
· http://www.worldbank.org (최종열람 2013.11.4)
· http://edcfkorea.go.kr (최종열람 2013.11.4)
· http://odakorea.go.kr (최종열람 2013.11.4)
· http://www.koreaexim.go.kr(최종열람 2013.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