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등학교 『국사』 (6차) 교육인적자원부, 1996
· 고등학교 『국사』 (7차) 교육인적자원부, 2008
· 강만길 외, 「근대 동아시아 역사 인식 비교」, 선인, 2004
· 김봉길, 「역사를 통한 동아시아 공동체 만들기」, 푸른 역사, 2006
· 김한종, 외, 「한 중 일 3국의 근대사 인식과 역사교육」, 역사비평사, 2002
· 박영철 외, 「동아시아의 타자인식」, 제이앤씨, 2007
· 송영심, 「왜곡 일본 역사 교과서 바로잡기」, 문공사, 2001
· 유용태, 「환호속의 경종 동아시아의 역사인식과 역사교육의 성찰」, 휴머니스트, 2006
· 이계황, 「기억의 전쟁 현대 일본의 역사인식과 한일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3
· 이찬희, 「동아시아의 역사 분쟁 한 중 일 역사교과서의 비교분석」, 동재, 2006
· 정재정, 「일본의 논리 전환기의 역사 교육과 한국 의식」, 현음사, 1998
· 한인복, 「일본 고등학교 일본사 교과서의 한국사 관련 내용의 변천」 한국교육개발원, 1993
· 국제교과서 연구회 편, 「한 일 역사교과서 수정의 제문제」, 백산자료원, 1994
· 일본교과서 바로잡기운동본부 편, 「한 중 일 역사인식과 일본교과서」, 역사비평사, 2002
· 일본교과서 바로잡기운동본부 편, 「화해와 반성을 위한 동아시아 역사인식」, 역사비평사, 2003
· 역사교과서연구회, 역사교육연구회 편, 「역사교과서 속의 한국과 일본」, 혜안, 2000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한국교육사」, 교육과학사, 1997
· 박성수, 「일본 교과서의 한국 관계내용 분석 검토」 , 한국교육개발원, 1983
· 이찬희 외 3인, 「일본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관련 내용 변화 분석」,
· 한국교육개발원, 1994
· 한인복, 「일본 고등학교 일본사 교과서의 한국사 관련 내용의 변천」, 한국교육개발원, 1993
· 한국교육개발원, 「한 일 역사 교과서 내용 분석상호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1982
· 한국교육개발원, 「일본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관련 내용 변화 분석」, 1991
· 한국교육개발원, 「일본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한국 관련 내용 변화 분석」, 1994
· 권혁태, 「교과서 문제를 통해 본 일본 사회의 내면 읽기」, 『역사 비평』 55, 2001.
· 김계식, 「한 일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비교연구」, 『한국 사회의 변동과 사회과 교육』, 한국사회과 교육학회, 1991.
· 김한종, 「한 중 일 삼국의 역사 교육과 역사 인식 공유 방안」, 『동아시아 역사 인식, 무엇이 문제인가 한 중 일 3국의 근대사 인식 비교』, 고구려 연구재단 창립 1주년 기념 제3차 국내 학술회의 발표문, 고구려 연구 재단, 2005.
· 백영서, 「20세기 전반기 동아시아 역사교과서의 아시아관」, 『대동문화연구』 49, 2005.
· 윤세철, 「일본의 역사교육과 교과서」, 『역사교육』 34, 역사교육연구회, 1983.
· 윤용혁, 「국사 교과서의 중 근세 한일 관계사 분석」, 『역사와 역사교육』 34, 1999.
· 윤용혁, 「일본 역사 교과서의 중 근세 한일 관계사 서술 고교 ‘일본사’서술을 중심으로 」, 『교육연구』 16,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0.
· 이찬희, 「일본사 교과서의 한국 관련 내용 분석」, 『역사교육논집』 26, 2001.
· 이신철, 「교과서 문제를 계기로 21세기 올바른 한 일관계를 모색하자」, 『문답으로 읽는 일본교과서 역사왜곡』, 역사비평사, 2004.
· 하종문,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의 바로보기」, 『한국근현대사연구』 18, 2001.
· 이영효, 「비판적 역사 읽기와 역사 쓰기」,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책과 함께, 2005.
· 최연규, 「한 일 초등학교 사회과 ‘임진왜란’ 수업 비교 : 국가주의적 관점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