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역사연구회 저, 2005,『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2』, 청년사
· 김경자, 2005, 「附元勢力의 農莊形成 방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역사교육, 석사학위논문
· 김영수, 1998, 「토지와 정치: 고려말 조선 건국세력의 전제개혁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20집』, 한국정치외교사학회
· 김기섭, 1990, 「高麗末 私田捄弊論者의 田柴科 인식과 그 한계」, 『역사학보 127』, 역사학회
· 민현구, 1972, 「고려의 녹과전」, 『역사학보 제 53·54집』, 역사학회
· 문철영, 1982, 「려말 신흥사대부들의 신유학 수용과 그 특징」, 『한국문화 제 3집』, 규장각한국학연구소
· 박경자, 1986, 「고려시대 향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홍규, 2007, 「정도전의 경제사상」, 『아세아연구 제 50권 제 3호 통권 129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 연구소
· 신은제, 2012, 「고려말 정국의 동향과 전제개혁론의 전개」, 『한국중세사연구 32』, 한국중세사학회
· 이익주, 1995, 「공민왕대 개혁의 추이와 신흥유신의 성장」, 『역사와 현실 제 15호』, 한국역사연구회
· 이경식, 1984,「고려말 사전의 가산화와 사전구폐론」,『역사교육 제 35집』,역사교육연구회
· 이병희, 1994, 「성리학의 수용과 사회변동 고려말 토지겸병과 신진사대부의 동향」, 『역사비평 통권 26호』, 역사비평사
· 이익주, 1998, 「고려말 신흥유신의 성장과 조선건국」, 『역사와 현실 29』, 한국역사연구회
· 이익주, 2008, 「『牧隱詩藁』를 통해 본 고려 말 李穡의 일상 : 1379년(우왕 5)의 사례」, 『한국사학보 제32호』, 고려사학회
· 위은숙, 1994, 「고려후기 사적 대토지소유와 경영형태」, 『한국중세사연구 1』, 한국중세사학회
· 정종대, 1997, 「鄭道傳의 詩와 改革精神」,『한국건축시공학회지 제 4권 제1호』, 석사논문, 한국건축시공학회
· 최경란, 2004, 「고려말 지배세력의 재편과 변화 : 신흥유신을 중심으로」, 석사 학위 논문, 아주대학교
· 홍영의, 2004, 「고려말 창왕대 ‘개혁파’ 신흥유신의 결집과 분기과정」, 『한국중세사연구 16』, 한국중세사학회
· 홍영의, 2004, 「高麗末 恭讓王代 新興儒臣의 對立과 政治運營論(上)」,『사학연구 제 76호』, 한국사학회
· 홍영의, 2004, 「高麗末 恭讓王代 新興儒臣의 對立과 政治運營論(下)」,『사학연구 제 76호』, 한국사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