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신라 하대 재당 신라인의 활동에 대한 고찰

"신라 하대 재당 신라인의 활동에 대한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2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4.09.25 최종저작일 2013.11
27P 미리보기
신라 하대 재당 신라인의 활동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목차

    Ⅰ. 머리말

    Ⅱ. 재당 신라인 사회의 형성
    1. 신라인의 당으로의 이주와 정착
    2. 신라인의 당내 분포
    3. 신라인의 당내 생활상

    Ⅲ. 당에서의 신라인 활동
    1. 신라인사회의 지도자
    2. 신라인 구법승과 입당유학생
    3. 당조에 진출한 신라출신 관료

    Ⅳ. 재당 신라인의 해상무역 활동
    1. 9세기 국제무역의 성격
    2. 장보고와 그의 세력
    3. 재당 신라인의 해상활동

    Ⅴ. 맺는말

    본문내용

    전근대 시기 한인의 해외이주와 관련하여 가장 광범위하면서도 뚜렷한 활동상을 남긴 사람들은 신라하대 당唐에서 활동한 신라인들이었다. 재당 신라인在堂 新羅人으로 불리는 이들의 활동은 838~847년까지 당을 여행하였던 일본인 승려 엔닌圓仁의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 대한 연구와 함께 주목되었다. 일본의 천태종 승려 엔닌은 그의 재당在唐 시절(838~847) 당에서 많은 신라인들을 만났다. 장안의 고급관리에서부터 신라인사회의 지도자, 법화원 승려와 구법승, 상인과 선원, 이름 모를 범인들에 이르기까지 그가 만난 신라인은 실로 다양하였다. 엔닌이 9년여에 걸친 자신의 입당구법행적을 일기 형식으로 정리한 『순례행기』에 그들과의 만남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그의 일기에 등장하는 사람들 중 절반 이상이 신라인이다. 이러한 사실은 당시 얼마나 많은 신라인들이 당에 살고 있었는지 말해준다.

    <중 략>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7세기 중엽 이후 한반도의 많은 사람들이 자의 혹은 타의에 의하여 당나라 곳곳에 이주하였다. 그들은 한반도와 지리적으로 가깝고 또 왕래가 비교적 용이한 산동반도와 강회지방 연해안은 물론이고, 당나라 내지로도 이주하였다. 그런데 당 내지로의 이주는 주로 강제적으로 사천된 경우가 많았고 또 후속적인 이주가 이루어지지 않은 일회성으로 그친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따라 그곳에서는 신라인 촌락이 형성·유지되기 어려웠다. 반면 산동반도와 강회지방에는 남북국시대에 걸쳐 꾸준하게 본국과 접촉이 이루어졌고 이주가 지속적으로 이어졌으므로 곳곳에 신라인 집단거주지가 형성·유지될 수 있었다.

    <중 략>

    9세기 전반 엔닌은 당나라에 여행하는 동안 신라인들이 집단적으로 모여 사는 마을을 여러 곳에서 목격하였다. 엔닌이 목격한 신라인 마을은 대체로 보아 산동반도에서 장강長江 하구 사이의 연해안과 강 그리고 운하 주변에 주로 자리잡고 있었다. 그러한 신라인 마을에는 촌장, 총관總管 혹은 압아押衙로 불리던 유력자가 있어, 그들이 신라인사회를 대표하며 신라인들을 이끌어나갔다. 그 가운데 한 사람이 장영張詠이다.

    참고자료

    · 金文經, 『入唐求法巡禮行記를 통해 본 新羅人들의 活動』, 해양수산부, 2000.
    · ______, 「在唐 新羅人의 集落과 그 構造 - 入唐求法巡禮行記를 중심으로」,『李弘稙博士回甲記念 寒 國史學 論叢』, 신구문화사, 1969.
    · 김문경 역주,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 증심, 2001.
    · 今西龍, 「慈覺大師入唐求法巡禮行記な讀みて」, 『新羅史硏究』, 國書刊行會, 1970.
    · 李基東,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郞徒』, 일조각, 1984.
    · ______, 「9 - 10세기에 있어서 黃海를 무대로 한 韓中日 三國의 海上活動」,『진단학보』,71·71학 집, 1991.
    · ______,『新羅社會史硏究』, 일조각, 1997.
    · ______,「張保皐와 그의 海上王國」, 『張保皐의 新硏究 - 淸海鎭 活動을 중심으로』, 완도문화원, 1985.
    · ______,「新羅 下代 賓貢及第者의 出現과 羅唐 文化의 交驩」,『余海宗博士華史甲紀念 學論叢』, 일 조각, 1979.
    · 이종훈,「중국 산동반도에서의 장보고와 신라인들」,『장보고와 해양경영사 연구』, 이진출판사, 1992.
    · 최근영,「통일신라시대의 지방세력 연구」, 신서원, 1990.
    · 라이샤워 著,『중국 중세사회로의 여행』, 조성을 編譯, 한울, 2007.
    · 朱江, 「통일신라시대 해외교통 述要」, 『장보고와 청해진』, 혜안, 1996.
    · ____,「略論唐代揚州城址與新羅文化遺蹟」,『金文經敎授停年退任記念 동아시아사 연구논총』혜안, 1996.
    · 李宗峯, 『韓國中世度量衡制硏究』, 혜안, 2001.
    · 권덕영,『재당신라인사회 연구』, 일조각, 2005.
    · 佐伯有淸, 「朝鮮系氏族とその後裔たち」『古代史の謎な探る』, 讀書新聞社 , 1973.
    · E.O.Reischauer, 『Ennins treavels in T'ang China』, Ronald Press, 1955.
    · 玉井是博,「唐時代の外國奴-特に新羅奴ぃて」,『小田先生頌壽記念 朝鮮論集』, 1934.
    · 김상기,「古代의 貿易形態와 羅末의 海上發展에 대하여」, 『東方文化交流史論考』, 을유문화사, 1954.
    · 崔根植, 「장보고 무역선과 항해기술 연구 -新羅船 運航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2.
    · 李宗峯, 「高麗時代 度量衡制 硏究 - 結負制와 관련하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박수석,「羅末 海上勢力에 관한 考察 -장보고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0.
    · 권덕영,『古代韓中外交史 - 遣唐使硏究』, 일조각, 1997.
    · 李基東, 「新羅 下代의 王位繼承과 政治過程」, 『歷史學報』85, 1980b.
    · 권덕영,「張保皐略傳」,『慶北史學』25, 2002b.
    · ______,「羅末 西學求法僧의 한 部類 -귀국하지 않은 승려들」,『佛敎史硏究』3, 중앙승가대학교 불교사학연구소, 1999.
    · ______,「9世紀 日本을 往來한 二重國籍 新羅人」,『韓國史硏究』120, 2003a.
    · ______,「張保皐의 商業帝國과 國際貿易」,『STRATEGY21』vol.4-2, 2002a.
    · ______,「唐 武宗의 廢佛과 新羅 求法僧의 動向」,『精神文化硏究』54, 1994.
    · ______,「在唐 新羅人社會의 形成과 그 實態」,『國史館論叢』95, 2001.
    · 奧村佳紀,「新羅人の來航たつぃて」,『駒澤史學』18, 1971.
    · 이영택,「장보고 해상세력에 관한 고찰」,『해양대논문집』14, 1979.
    · 佐伯有淸,「9世紀の日本と朝鮮-來日新羅人の動向なべって」,『歷史學硏究』287, 1964.
    · 陳尙勝,「論唐代山東地區的新羅僑民村落」,『東國史學』37, 2002.
    · 李永澤,「9世紀 在唐 新羅人에 대한 考察 -入唐求法巡禮行記를 중심으로」,『한국해양대학 논문집』 17,1982.
    · 小野勝年, 「입당구법순례행기の연구(2)」 (領木學術財團, 1966.
    · 李宇泰, 「전결제」, 『한국사』14, 국사편찬위원회, 1993.
    · 李炳魯, 「고대 일본열도의 新羅商人에 대한 고찰 - 張保皐 사후를 중심으로」,『日本學』15, 1996.
    · ______, 「입당구법순례행기에 나타난 한국고대사상」, 『일본어문학』13, 2000.
    · 三善淸行, 「天台宗延歷寺座主圓珍傳」;『平安遺文』권1.
    · 崔柄憲, 「新羅下代 禪宗九山派선문의 成立 - 崔致遠의 四山碑銘」, 」『한국사연구』7,1972.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