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봉룡, 1999,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와 나주」,『榮山江流域의 古代社會』, 學硏文化社.
· 강봉룡, 1999, 「영산강 유역 ‘옹관고분’의 대두와 그 역사적의미 : 타지역 옹관묘와의
· 비교를 중심으로 」, 서울大學校人文大學國史學科.
· 강봉룡, 1999, 「3-5세기 영산강유역 ‘甕棺古墳社會’와 그 성격」, 歷史敎育硏究會.
· 강봉룡, 2000, 「영산강유역 고대사회 성격론」, 역사문화학회 국제학술심포지움.
· 국립광주박물관, 1998, 『영산강의 고대문화』.
· 국립중앙박물관, 1998, 『고고유물로 본 한국고대국가의 형성』.
· 국립중앙박물관, 1999, 『백제』.
· 國史編纂委員會, 1987, 『中國正史朝鮮傳』, 國史編纂委員會.
· 강인구, 1992, 『자라봉고분』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이은창, 1978, 「유공광구소호」 , 『고고미술』 136 · 137, 한국미술사학회
· 정승원, 1991, 「자미산성고」 , 『전남문화』 4,
· 성낙준, 1992. 「1-3세기 한 · 일 양지역의 옹관묘」 , 『한국고대사논총』 5,
· 이남석, 1995, 『百濟 石室墳 硏究』, 학연문화사
· 김낙중, 1998, 「나주 복암리 3호분 발굴조사」, 제22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유적조사발표.
· 이영문, 1999, 「나주지역 고대문화의 성립 배경」,『榮山江流域의 古代社會』(學硏文化社).
· 李鎔彬, 2002, 『百濟 地方統治制度 硏究』, 서경문화사.
· 이청규, 1995, 『제주도 고고학 연구』, 학연문화사.
· 임영진, 1997, 「나주지역 마한문화의 발전」, 『나주마한문화의 형성과 발전』.
· 임영진․조선진․서현주, 1999, 『나주 복암리 고분군』, 전남대학교박물관.
· 최성락, 2000,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형성배경」, 역사문화학회 국제학술심포지엄.
· 한국상고사학회, 1998, 『百濟의 地方統治』, 學硏文化社.
· 서현주, 2010, 「영산강 유역 고대 사회에 대한 역동적인 이해 : ‘영산강유역 고분연구’」, 『한국고고학보』, 한국고고학회
· 광주전남발전연구원 영산강연구센터 외, 2005, 「영산강유역 고대문화권의 역사적 성격」, 광주전남발전연구원
· 최성락, 2002, 「삼국의 성립과 발전기의 영산강유역」, 『한국상고사학보』, 한국상고사학회
· 문안식, 2004, 「한국고대의 지방사회 : 영산강유역의 역사와 문화를 중심으로」, 혜안
· 최성락, 1999, 「영산강유역의 고대사회」, 학연문화사
· 서현주, 2010, 영산강유역 고대 사회에 대한 역동적인 이해 : 「영산강유역 고분 연구」, 김낙중 저, 한국고고학보
· 최성락 외, 2000,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형성배경」, 『지방사와 지방문화』, 역사문화학회
· 문안식, 2002, 『백제의 영역확장과 지방통치』, 신서원.
· 朴賢淑, 1997, 『백제 지방 통치체제 연구』, 고려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유원재, 1999, 「백제의 마한 정복과 지배 방법」,『榮山江流域의 古代社會』, 學硏文化社.
· 兪元載, 1997, 「양서 백제전의 담로」,『백제의 중앙과 지방』.
· 兪元載, 1995, 『중국정사 백제전 연구』, 학연문화사.
· 윤근일, 1997, 「나주 복암리 고분(3호분)발굴조사 槪報」, 국립문화재연구소.
· 李根雨, 1997, 「웅진시대 백제의 남방경역에 대하여」,『백제연구』27.
· 李其東, 1987, 「마한영역에서의 백제의 성장」,『마한․백제문화』제10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