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전섭, 『한국고전문학연구』, 대왕사, 1982.
· 권두환, 「조선후기 시조가단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 김삼불, 『교주 해동가요』, 정음사, 1950
· 김용찬, 『18세기 가집편찬과 시조문학의 전개양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 김용찬, 『조선후기 시가문학의 지형도』, 보고사, 2002.
· 박노준, 『조선후기 시가의 현실인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998.
· 양희찬, 「시조집의 편찬 계열 연구」, 고려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 이상보, 『해동가요 부영언선』, 규장문화사, 1979.
· 이태극, 「노가재시조의 내용고」,『韓國文化硏究院論叢』17집, 이화여자대학교, 1971.2
· 정병욱, 『국문학산고』, 신구문화사, 1959.
· 정재호, 『한국시조문학론』, 태학사, 1999.
· 조규익, 「김수장론」, 『시조학논총』7집, 한국시조학회, 1991. 7
· 진동혁, 『고시조문학론』, 형설출판사, 1980.
· 황충기, 『한국여항시조연구』, 국학자료원, 1998.
· 황충기, 「김수장론」,『국어국문학』96호, 국어국문학회, 1986. 12
· 황충기, 『해동가요에 관한 연구』, 국학자료원, 1996.
· 한국도교사상연구회, 『道敎의 韓國的 受容과 轉移』, 亞細亞文化社, 1994
· 경희태, 『道敎史』,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4
· 정재서, 『도교와 문학 그리고 상상력』, 푸른숲, 2000-2002
· 한국도교문학회, 『도교문학연구』, 푸른사상, 2001
· 박양기, 『歌辭文學의 道敎思想的 背景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 박삼서, 『文學敎育의 道敎思想的 背景 硏究』 ,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 學園 컬러版『世界百科大事典(全 20券)』, 發行者 : 曺治根, 데자~롯시 6권(15p) 1989, 5
· 강제현, 「김수장의 시조 인식과 문학사적 의의」, 2. 대상작품선정(67~69),
· 語文硏究 語文硏究學會 48 별쇠, 2005. 8
· 김하명, 『시조집』, 한국문학사, 1996, 청구기호 : 811.3 김975ㅅ-1,
· 405~422중에서 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