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미생물학실험] 항균성 시험 결과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14.07.28
- 최종 저작일
- 2014.06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소개
3. 개요
(1). 미생물 물리적 억제
열 멸균
방사선 멸균
여과 멸균
(2). 미생물 화학적 억제
항미생물제의 역가 측정
멸균제
감염방지제, 살균제 및 소독제
4. 실험에 사용하는 시약과 도구
4. 재료 및 실험방법
5. 결과
6. 결과해석 및 고찰
본문내용
① 미생물 물리적 억제
물리적인 방법들이 미생물 오염원 제거, 소독 및 멸균을 위해 사용된다. 열, 방사선 및 여과들의 방법들을 이용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미생물들을 파괴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미생물의 생장을 막거나 밋애물들이 있는 지역이나 물질들로부터 오염원을 제거한다. 여기서는 이러한 방법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고 몇 가지 실질적인 예를 찾아보자.
⑴ 열 멸균
아마도 미생물 생장을 억제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특히 멸균 방법으로 열을 사용하는 것이다. 미생물들의 열에 대한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노느 온도와 열처리 시간 및 열이 건열인지 습열인지 등이 있다.
⑴-1 열 멸균의 측정
모든 미생물의 경우 생장을 할 수 있는 최고온도가 존재하며, 이 온도 이상에서는 생존도가 줄어든다. 매우 높은 온도에서는 대부분의 거대분자들이 변성이라는 과정이 일어나 구조를 잃게 되고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생존능력을 잃게 된다. 열의 멸균제로서의 효능은 주어진 온도에서 미생물 집단의 생존율을 1/10로 줄이는 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측정된다. 이것을 1/10 감소시간 또는 D라고 한다. D와 온도의 관계는 음식을 준비할 때 대개 사용되는 온도의 범위에서 지수함수를 보인다. 그래서 D릐 로그값을 온도에 따라 그래프로 나타내면 직선이 얻어진다. 이 직선의 기울기는 주어진 조건에서 미생물의 열에 대한 감수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 그래프를, 예를 들면 통조림 생산 공정에서와 같이, 멸균을 성취하기 위한 처리시간을 계산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열에 의한 사멸은 1차 지수함수여서 온도를 올리면 사멸이 월등히 빨리 일어난다. 일정 부분의 생균을 죽이는 데 필요한 시간은 초기의 미생물 농도와는 무관하다. 그래서 우리가 미생물 군집을 멸균하기를 바란다면, 높은 온도에서 보다 낮은 온도에서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그래서 특정 조건에서 멸균을 할 때는 멸균시간과 멸균온도를 잘 조정할 필요가 있다. 열처리의 형태 또한 중요하다.
참고 자료
한국미생물학회 저, 미생물학 실험서, 을유문화사, 1998년, p.27~56
Michael T. Madigan 외 3명, 오계현 역, Brock의 미생물학 , 바이오사이언스, 12판, p.78~79
오계현 외 4명 공저, 최신미생물실험, 신광문화사, p.45~51
최호형(2004년), 미생물학, 아카데미서적, p.142~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