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윤식·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1
· 김윤식·김우종 외 30인, 『한국 현대문학사』, 현대문학, 1995
· 김경미 외 9인, 1910년대 문학과 근대』, 월인, 2005
· 윤병로, 『한국 근·현대문학사』, 명문당, 1991
· 홍문표, 『한국현대문학사』, 창조문학사, 2003
· 임화, 임규찬 역,『임화 신문학사』, 한길사, 1993
· 이현식, <한국 근대문학 형성의 사회사적조건>, 『민족문학과 근대성』, 문학과 지성사, 1995
· 최봉영, <신문화의 형성과정과 신지식인의 성격>, 『한국문화의 성격』, 사계절, 1997,
· 김주리, <1910년대 신 지식층의 자아의식 고찰>, 『한국현대문학연구』(15집, 2004.), 한국현대문학회
· 이승하,『한국 현대시 문학사』, 소명출판, 2005
· 박명용,『한국현대시 해석과 감상』, 글벗사, 2000
· 박철희, <한국 근대시의 전사(前史)>,『현대문학』, (405호, 1988년 9월), 현대문학사.
· 조남현 외, 『역사적 전환기와 한국문학』, 도서출판 월인, 2005
· 박혜경, <신소설에 나타난 통속성의 전개양상>, 『국어국문학』(144호, 2006), 국어국문학회
· 양문규, <1910년대 잡지와 근대단편 소설의 형성>, 『배달말』 통권(36호, 2005), 배달말학회
· 서연호, <1910年代의 劇曲文學>, 『演劇學報』(9집, 1976), 동국대학교.
· 황유정, <1910년대 희곡에 나타난 사랑과 주체의 한 양상>, 『인문과학연구』(12권, 2009),
·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박노현, <1910년대 희곡의 문명 담론>, 『한국극예술연구』, (18집, 2003), 한국극예술학회
· 권영민 편, 『한국현대문학비평사(자료 I)』, 한국학술정보, 2004
· 김복순, <1890년대~1910년대의 문학비평연구 ; 序跋비평을 中心으로>, 연세대석사논문, 1988.
· 박수용, <1910년대 문학 비평연구-신지식층의 문학비평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석사논문,
· 1999.
· 이선영, <1910년대의 한국 문학 비평론(I)>,『현상과 인식』(5집, 1981), 한국인문사회과학회.
· <1910년대의 한국 문학 비평론(Ⅱ)>,『현상과 인식』(6집, 1982), 한국인문사회과학회.
· 손정수, <1910년대 이광수의 문학론과 작품의 관련양상에 대한 고찰>,『韓國學報』(22집,
· 1996), 일지사, 1996년
· 장사선, <한국 근대초기 문예평론 형성의 비교문학적 연구>,『한국현대문학연구』(26집, 2008년) 한국현대문학회